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d라이브러리
"
탄생
"(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회사들이 문을 닫을 때 그는 거꾸로 전 재산을 투자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그렇게
탄생
한 것이 리튬폴리머적층기술을 이용한 코캄표 리튬이온폴리머전지였다.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한 그가 전공을 살려 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승부수를 띄우기까지는 무려 20여년 이상 걸렸다.“코카콜라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945년 6월 폭탄의 사용 여부를 두고 과학자들의 의견이 갈렸다. 사실상 맨해튼 계획을
탄생
시켰던 장본인인 질라드가 이번에는 원자폭탄의 사용을 반대하고 나섰다. 일본을 투항시킬 목적으로 원자폭탄을 사용한다면 이후 미국은 러시아와 원자폭탄 무기 개발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을 염려했던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식물인 애기장대에 이 유전자를 삽입해 중금속을 ‘꿀꺽 먹어치우는’ 슈퍼 애기장대를
탄생
시킨 것. 주인공은 다름 아닌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이영숙 교수였다.식물로 독성 제거한다 식물은 방어메커니즘의 일환으로 유해금속을 흡수해 액포 속에 저장함으로써 스스로는 독을 피하는 한편 다른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흔쾌히 지원하겠다고 하더군요.”이렇게 해서 과학 글쓰기 동아리 ‘꿈꾸는 과학’ 이
탄생
했다. 이 모임은 현재 2년째로 20여명의 대학생들로 이뤄져 있다. 이들은 비슷하면서도 제각각 다른 모습으로 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교수님의 책을 인상깊게 봤어요. 그분으로부터 직접 배운다기에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때마다 탑의 한단씩을 형성했다. 결국 이런 사건이 여러번 일어나 ‘우주 바벨탑’이
탄생
했던 것이다. 이 탑은 제일 아랫단의 밑변이 0.1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규모다.중심 별 주변을 잘 보면 별을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눈에 띈다. 이것은 별 둘레를 감싸고 있는 먼지 원반이다. 이 원반 때문에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동화작가로만 기억하지만, 만약 지의류에 대한 그녀의 연구가 인정됐더라면 피터 래빗은
탄생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책에는 이처럼 과학기술의 한계와 시대적 배경, 정치적 편견 등으로 이단자로 몰려야 했던 미생물 연구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 남성중심의 공격적인 세계관에 대한 비판,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의 동료들은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에 불을 지폈고 민간 유인우주관광 산업의
탄생
을 알렸다”고 평가했다. 하늘과 우주를 탐험하는데 평생을 보낸 루탄과 멜빌, 그리고 그들이 꿈을 이루도록 밀어준 앨런. 이들의 꺼지지 않는 젊음이 공상속에나 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우주여행시대를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오랫동안 마이너로 있어야 했다.그러나 ‘싸이폐인’ ‘싸이질’ 이라는 신조어가
탄생
할 정도로, 흔히 블로그로 불리는 미니홈피가 2001년 9월 시작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미니홈피는 기존의 클럽이 집단을 중시한 것과 달리 개인에 초점을 맞춘다. 미니홈피에는 개인이 자기자신을 표현하기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계절)와 박용남의 ‘꿈의 도시 꾸리찌바’(이후) 요시다 타로의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들녘), 앨런 와이즈먼의 ‘가비오따스’(말)는 성장과 파괴에 맞서 자연과 인간 공동체를 지키려는 세계 곳곳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있다.이 중 독일 슈투트가르트는 분지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문을 여닫을 때 나는 작고 둔탁한 소리 역시 소음전문가들의 정교한 튜닝을 거쳐
탄생
한 것이다.이런 음질개선기술도 철저한 과학적 분석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일단 정확한 파형을 알기 위해 소음을 정확히 감지해 저장해야 한다. 그뒤 음질변환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저장된 소음을 변형해가면서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