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에 악셀 팀머만 단장·박남규 교수·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비롯한 발사체개발사업본부 연구자들은 2010년부터 1.5t급 실용
위성
을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 연구 개발을 추진해 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홍보유공자상에 선정된 진 센터장은 올해 5월 터진 라돈 사태 때 방사능 방재 전문가로 방사선 피폭과 방사선의 인체 영향에 대한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013년 11월 발사한 과학기술
위성
3호가 수집한 적외선 영상 자료를 분석했다. 과학기술
위성
3호에는 천문연이 개발한 넓은 영역의 탐사 관측에 특화된 MIRIS가 장착됐다. 연구진은 약 1년간 우리 은하면 전체에 대한 파셴알파 관측 자료를 세계 최초로 얻는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 북쪽 하늘에 위치한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산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재료와 제조법이 다양하고 박막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인공
위성
에 붙이는 고가의 고성능 태양전지부터 제조 공정이 간단한 저렴한 태양전지까지 제품군이 다양하다. ‘아름다운’ 염료 감응 태양전지 (효율 11.9%) 동진쎄미켐 제조 | 투명전극필름에 금속 산화물 ... ...
'누리호' 엔진 검증용 시험발사체 28일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첫 우주발사체인 누리호는 600~800km 저궤도에 1.5t급 실용
위성
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우주발사체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총 1조957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개발 중이다. 시험발사체는 3단형 발사체인 누리호의 핵심인 75t급 액체엔진 성능을 실제 발사환경에서 시험하기 ... ...
미국 민간 소형발사체 기업 로켓랩, 상업발사 문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과정에 오류가 생겨 실패로 기록된 바 있다. 랜드스페이스는 2014년 중국이 소형발사체 및
위성
시장에 민간 기업 진입을 허용한 이후 생겨난 여러 발사체 기업 중 하나다. 10월 3일 독일 브레멘에서 열린 국제우주대회에서 발표중인 브래들리 슈나이더 로켓랩 부사장. 브레멘=윤신영 ... ...
국산 우주기술 검증하고 별 탄생 밝힐 차세대소형
위성
1호 20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일 사이로 잡지만 한 달반 가까이 늦춰졌다. 차세대 소형
위성
1호는 발사 후 3개월 동안
위성
상태와 탑재체의 데이터를 점검하는 시험운영 후 본격적인 우주과학 연구와 핵심부품의 우주환경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김선정 한양대 교수, CES 2019 혁신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파도만으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 전기로 해양 응급구조 상황에서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와 LED를 구동해 조난 위치를 알릴 수 있어, 조난자의 구조 및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받았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장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기존 제품의 단점인 부피와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생성과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며 “우주론 검증과 우주탐사
위성
임무 설계 등에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암흑물질에 양성자, 중성자 등 각종 중입자(바리온)까지 고려해 우주 진화 과정의 다양한 천문현상을 모사할 계획이다. 역시 세계 최대 ... ...
[뉴스룸]우주산업, 中-日이 그토록 당당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달 탐사, 우주정거장 등 자국 우주 임무는 물론이고 학생과 젊은 과학자의 소형
위성
발사 수요만으로도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한국은 어떤가. 공역 사용 허가가 자유롭지 않아 민간에서는 연구용 과학로켓조차 변변히 시험한 적이 없다. 지난달 말 KAIST가 겨우 1km 높이에 과학로켓을 쏜 게 ... ...
“中 2020년 화성, 2030년 목성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예정이다. 중국은 ‘우주 운송' 사업에서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구 저궤도로 인공
위성
을 쏘아 올리거나 우주정거장에 각종 물자를 실어 나르기 위해 자국 우주발사체인 창정(長征)로켓을 290차례 발사했다. 앞으로 다양한 우주설비를 400차례 더 쏘아올릴 계획을 갖고 있다. 중국의 입김도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