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74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시대 아이 건강에 필요한 세 가지 원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03
날씬해지려고 안 먹는 청소년이 늘면서 비정상적인 체중 미달
현상
이 나타나는 양극단의
현상
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안 교수는 "소아와 청소년 시기엔 골고루 먹고, 열심히 운동하고, 충분히 잠을 자는 것이 무엇보다 성장에 중요하다"면서 "세 가지만 잘 지켜도 몸을 균형있게 유지하고 ... ...
코로나바이러스, 코 속 섬모세포에서 증식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상피세포(청색) 중 섬모세포(연두색)에서만 코로나바이러스(선홍색)가 복제·증식하는
현상
을 최초로 포착했다.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초기 감염과 바이러스 증식이 비강(코 안) 섬모상피세포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비강 내에서 ... ...
숨만 쉬어도 비말 2.2m 날아가…, 마스크 쓰면 0.7m로 뚝
과학동아
l
2021.07.01
고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와류는 본래의 공기 흐름과 반대의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현상
으로, 이 복잡한 와류 영역이 비말을 더 멀리 운반했다. 그러나 마스크를 썼을 경우 공기 흐름이 약화돼 와류 형성이 억제됐고, 비말은 단 0.72m까지만 확산됐다. doi: 10.1063/5.0054204 강석구 한양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우리가 익숙한 육종을 통한 품종과 어떻게 다른 것일까. 잡종벼는 ‘잡종강세’라는
현상
을 이용해 수확량을 늘린 벼다. 품종이 다른 암수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의 몇몇 특성이 부모의 중간이 아니라 부모 양쪽보다 더 우세한 경우가 종종 나타나 이를 잡종강세라고 부른다. 밀이나 옥수수 등 ... ...
스핀구름 존재 입증한 심흥선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말했다. 스핀구름 존재입증 성과는 더 복잡한 자성 불순물에서 나타나는 난해한
현상
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차원 반도체 전기소자를 활용해 양자역학적 파동 특성을 보이는 스핀 구름을 생성하고 제어하고 관측할 수 있다는 점도 입증했다. 이는 양자 컴퓨터나 양자 통신으로 ... ...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생각해온 전 세계 천문학계가 극적인
현상
의 확인에 고무돼 있다. 블랙홀이나 중성자별과 같은 무겁고 밀도가 큰 천체가 충돌해 하나로 합쳐지면 그 충격의 여파로 우주 공간에 잔물결인 중력파가 퍼져 나간다. 2017년 중력파의 존재를 처음 확인한 ... ...
북미에 뜨거운 공기 가두는 거대한 뚜껑이 덮였다…'열돔
현상
'에 연일 폭염·최고기온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야쿠츠크의 낮 온도는 33도까지 올라갔다. 전문가들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의 이상고온
현상
역시 기후변화와 연관이 깊다고 보고 있다. 시베리아 지역과 같은 북극권은 지난 100년간 평균 기온이 2~3도 상승했다. 최근 10년만 봐도 0.75도 올랐다. 윈디닷컴 ... ...
20대 감염·유흥시설·주점 집단감염 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2492명으로 늘었다. 방역당국은 최근 확진자 비율이 70% 이상이 수도권에서 나타나는
현상
과 관련해 추후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수도권에서 최근 확진자 비율이 70% 후반을 나타내는 부분하고 델타 변이하고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추후 모니터링이라든지 ... ...
주말까지 전국 30도 안팎의 무더위 28~30일 곳곳 소나기…2일부터 제주도 장마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제주도를 시작으로 점차 전국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찬공기는 동아시아 기압계 정체
현상
과 한반도 북서쪽에 자리잡은 티벳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반도 위에 머물러 왔다. 그러나 최근 한반도 서쪽에 고기압이 자리잡으며 찬 공기의 공급 경로가 끊겼다. 남쪽에서도 27일 일본 남동부에서 소멸한 5호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위성 ‘가이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우리은하 내 항성 목록 ‘EDR3’에서 이런
현상
이 나타나는 별을 찾아냈다. EDR3에 등록된 항성은 18억 개, 이 중 지구에서 326광년 이내에 있는 별은 33만1312개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다시 이 중에서 5000년 전부터 5000년 뒤까지 326광년내에 있는 별 2034개를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