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UNIST AI 컬링, ‘디지털 컬링 대회’ 우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찾아내는 기술이다.연구팀은 스톤 위치와 투구 거리 등의 정보를 담은 투구 데이터 16만 건을 컬링 AI에 입력했다. 이후 AI가 스스로 생성한 약 450만 투구 데이터를 통해 강화학습을 거쳤다. KR-DRL은 3월 8일 경기 이천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서 열린 ‘인간-로봇 컬링 대결’에서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외부 자극에 강하기 때문에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DNA를 메모리로 처음 활용한 건 2012년이었다. DNA 합성 연구로 유명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65만8750바이트 분량의 책 정보를 DNA에 저장하는 데 성공했다. 처치 교수는 자신이 쓴 ‘재생: 어떻게 합성생물학은 자연과 우리를 새롭게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시선을 따라갈 수 있게 했죠. 2차원 배경을 그리는 것도 어려운데, 3차원을 상상하는 건 힘들지 않을까요? 사실 웹툰 작가 대부분은 ‘스케치업’ 같은 3차원 모형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씁니다. 웹툰의 공간적 배경을 3차원으로 설계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캡쳐해 배경에 붙여 넣는 거죠. 호랑은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노르웨이, 심지어 러시아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답니다.” 강연이 끝난 뒤 정동건(수원 잠원초 6) 친구는 “생생한 탐험기와 사진, 영상이 함께 어우러진 강연을 들으니 오로라를 직접 보고 온 것처럼 느껴진다”며 “언젠가 꼭 오로라를 보러 가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Tech] 기계식 키보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의 기계식 키보드(모델명 ASUS ROG CLAYMORE)를 분해해보기로 했습니다. 게이머들이 원하는 건 ‘동시 입력’ ‘반복 입력’키캡을 뜯으니 투명한 스위치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스위치는 기계식 키보드의 키감을 좌우하는 가장 중심이 되는 부품입니다. 과감하게 한 번 더 분해했습니다. 빨간색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아니죠. 점성이 작은 재료를 여럿 섞어서 점성이 약 1000배나 큰 마요네즈가 만들어진다는 건 신기한 일입니다. 여기에는 계란 노른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노른자가 계면활성제로 작용하기 때문이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이 현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했습니다.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 ...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돌고, 다시 문을 긁는 등의 행동을 반복했다는 겁니다. 강아지가 이런 행동을 보이는 건 분리불안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인이 외출 시 집안을 어지럽히는 행동만으로는 분리불안증이라고 판단할 수 없고, 25분 이상 길이의 동영상을 통해 행동분석을 해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막상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분석해 전문성을 확보했다. 동영상 수백 시간, 인터뷰 수천 건, 트위터 멘션수만 건이 분석에 활용됐다. 미국의 저명한 정신의학과 전문의 27명이 트럼프 대통령을 분석한 572쪽짜리 진단서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해 간단한 실험을 설계했다. 가상의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6분 동안 신호등 20개를 건너는 미션을 받는다. 타이밍을 잘 맞추지 못하면 자동차에 치일 수 있다. 게임 도중 참가자들의 뇌 변화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사춘기 청소년과 성인이 위험을 감수하려는 빈도는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부당함을 호소할 수 있을 때 정당화 될 수 있다. 이렇듯 시민 불복종 운동의 정당화 요건을 강조하는 이유는 현대사회에서 시민 불복종 운동이 악용될 여지가 커졌기 때문이다. 침묵하는 다수의 다양한 의견이 무시될 가능성과 더불어 사이버 공간의 발달로 무차별적 폭로나 감성을 자극해 시민을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