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등차수열이 존재한다고 증명했다. 소수 등차수열이 무한히 길지는 않을지 몰라도 유한한
길이
의 소수 등차수열은 얼마든지 있다는 이야기다. 그린-타오 정리가 발표된 뒤 많은 수학자들이 소수 등차수열을 발견했다.지금까지 발견된 소수 등차수열 중 가장 긴 것은 항이 26개다. 앞으로 언제까지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들어왔다.앨리스가 붉은 여왕을 보고 가까이 가려 합니다. 그런데 정원의 꽃들이 그
길이
아니라 다른 길로 가라고 충고합니다. 앨리스는 그 말이 어처구니가 없어 대꾸하지 않고 곧장 붉은 여왕을 향해 걸어갑니다.그런데 이게 웬일인가요? 분명히 붉은 여왕이 있는 방향으로 걸었는데, 붉은 여왕은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를 구하려면 반의 반으로 줄이면 됩니다.석공 : 그럼 한 모서리의
길이
를 얼마로 해야 하는 겁니까?철학자 : 글쎄…. 그게….석공 : 그런데 ∛2(세제곱근 2)는 약 얼마입니까?과학자 : 그것은 무리수라서 딱 떨어지는 수가 아닙니다. 대신 근삿값인 1.26m를 사용해야 합니다.석공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
가 30μm, 높이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파장이 200μm인 빛을 만든 것. 올해 ‘사이언스’ 3월호에 발표된 이 연구는 공명기 대신에 인덕터와 2개의 축전지로 이뤄진 전기적 공진기 회로를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선은 빛을 산란시키는 물질이 없으면 눈에 보이지 않고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정해진
길이
만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 파동인 레이저 광선검끼리 서로 교차할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이끄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는 있다. 실제로 미국은 레이저 광선검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 ...
실내에서 즐기는 포뮬러원(F1) 드래그레이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완성한다. 그 다음 디자인대로 전용 기계공구(Tiny-CNC-S)를 이용해 나무를 깎는다. 전체
길이
는 25cm보다 길어야 하고 무게는 50g 이상 나가야 한다.빨리 달리는 모형 자동차를 만드는 비결은 무엇일까. 전체 모양을 유선형으로 만들면 공기저항을 적게 받아 빨리 달릴 수 있다. 디자인의 미세한 차이에도 ... ...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다세포 생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적은 있지만, 평생 동안 산소호흡을 하지 않는 종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이들 동물은
길이
가 1mm가 채 되지 않았고, 형태나 구조가 해저 퇴적층에서 주로 서식하는 동갑동물과 유사했다.연구팀은 방사성 동위원소와 적외선을 이용해 이들의 신진대사활동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이 동물들은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개발자들이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도 소비자에게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팔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통신사의 권력은 크게 약화됐다.애플이 이번에도 아이패드를 내세워 신문, 책,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 산업의 권력 구도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것도 자연스럽다.한편에선 아이패드에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❾ 마찬가지로 네 방향에서 고를 잡아 당긴다. 이 때 네 개의 고가 같은 모양이 되도록 그
길이
를 맞춰가며 조여야 한다.❿ 다 조이면 동심결 완성! 전통 매듭 공예를 할 때는 성급한 마음을 버리고 차분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해요. 우리전통을 사랑하는 마음과 끈기, 이 둘만 있으면 이미 절반은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단순하게 표현했을 뿐이다. x를 무게, y를늘어난
길이
라고 생각하면 둘 다 무게와 늘어난
길이
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된다. 이렇게 수학과 과학에는 겉보기는 조금 달라도 알고 보면 똑같은 원리가 곳곳에 있다. 그건 곧 하나만 알아도 둘을 알 수 있다는 뜻!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