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포부를 밝혔다.정 씨에게 앞으로 어떤 뇌과학자로 이름을 남기고 싶은지 물었다. 그는 “
내
뇌를 학교 연구원에 기증하고 싶다”며 “뇌과학자로서 명예로운 죽음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붓는 뇌과학자로 남고 싶다는 그만의 각오였다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원자핵공학과를 지망하는 후배들을 위해 자신의 입시 경험을 나누는 인터뷰에 무려 일곱 명이 신청을 했다. 자신이 다니는 학과를 생각하는 마 ... 부족한 잠을 보충하기 바빴지만 김 씨는 열심히 선생님 강의를 듣고 공부했다. 그 결과
내
신과 수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다 잡을 수 있었다 ... ...
[가상인터뷰] 시조새는 쥐라기 하늘을 날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알아낼 수 있거든. 이 방법으로 시조새의 날개 뼈
내
부 구조를 관찰한 결과, 우리의 뼈
내
벽이 공룡보다 훨씬 얇다는 사실을 알아냈어. 연구팀은 이 사실로 보아 시조새의 뼈가 공룡보다는 조류의 뼈에 더 가깝다고 분석했지. 일리 : 그럼 넌 새처럼 훨훨 날았던 거야? 아르카이옵테릭스 : 연구를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는 또 다른 힐베르트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언제든 힐베르트를 불러
내
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스트리트 매스파이터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Part 3. 힐베르트 뼈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빨간색으로 칠한 카드 정원사처럼 빨간장미를 모두 빛나는 빨간 장미로 바꿔야 합니다.
내
가 선택한 장미 양쪽에 있는 장미도 동시에 색이 바뀌니 논리적으로 생각해야 해요. 자, 수학나라에 익숙해졌나요? 이제 본격적으로 즐길 차례입니다. 이정표를 보고 따라 오세요! [제 2장] 수학나라의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1=1 이어서 ×가 됩니다. ×를 뒤집었을 때는 빈칸을 나타
내
는 0이 나와야 하는데, 수로 나타
내
면 1+1=2가 돼서 0이 나오지 않으므로 규칙에 맞지 않지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0과 1을 이진수처럼 생각해서 1+1이 0이 된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이진수 1(2)에 1(2)을 더하면 1(2)+1(2)=10(2)이 되는데 합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필요한가게임 분야는 기술이 상당히 빨리 발전하고 유저들이 좋아하는 게임 장르나
내
용도 빠르게 변화한다. 거의 1~2년 주기로 패턴이 달라지는 것 같다. 그래서 앞으로 5년 뒤 어떤 게임이 인기를 끌지 예상하기가 어렵다.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기술의 트렌드를 빨리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인산전달계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4년 뒤 충치가 생긴 그룹은 구강 미생물
내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비중이 높았고, 생기지 않은 그룹은 나이세리아 속, 렙토트리키아 속 비중이 높았습니다. 나이세리아는 박테리아가 한 곳에 머물지 않도록 활동성을 주고, 렙토트리키아는 충치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생물종들이 멸종하고 있지요. 전세계 과학자들은 빠른 멸종 속도를 지적하며 공동성명을
내
고 있답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다른 생물들이 멸종하는 게 왜 심각한 문제일까요? 왜 생물종은 다양해야 할까요? 생물종이 다양하면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있더라도 전체 생태계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기술로 새로운 이론 발견입자물리를 연구하는 한국 이론가들도 두각을 나타
내
고 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남극에 위치한 ‘아이스큐브(IceCube)’ 중성미자 관측소에서 관측된 새로운 중성미자가 암흑물질이 붕괴한 신호일 수 있다는 이론을 2015년 7월 ‘피지컬 리뷰 D’에 발표했다. doi: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