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증명하기는 쉽지 않아요. 아래쪽 미니실험을 보세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미로가 한눈에 보기에도 평면을 안과 밖으로 나누나요? 그렇다면 어디가 안이고 어디가 밖인지도 쉽게 알 수 있어야 해요.수학에서 말하는 정리는 어떤 경우든 참이어야 논란이 없기 때문에 수학자들은 당연히 맞는 것처럼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화면은 수직편광(90°,↕)판을 쓰는데, 수직편광을 가진 빛 입자가 이를 통과한 뒤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된다. 이 디스플레이 위로 수평편광판(0°, ↔)을 두면 빛이 차단돼 화면을 볼 수 없다. 빛입자가 수직 편광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과한 뒤(앞선 예시에서 남자출입제한 검문소), 이어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우주먼지들을 왜 이렇게 힘들게 찾고 있는 걸까.극지의 눈을 녹여 우주먼지를 걸러내는 모습. 이종익 극지연구소 K-루트사업단장은 “우주먼지는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생성된 것들이 많아 초기 태양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비밀을 담고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다리고 있었다. 부슬비는 얼마 전부터 가루눈으로 바뀌어 있었다. 두 사람은 얇은 눈 모자를 쓴 유리의 자가용으로 달려갔다.“랜슬롯 허드슨이란 남자를 알아?”차 안에 들어가 문을 닫으며 유리가 말했다.“몇 시간 전에 호텔에서 만났어. 왜?”미나가 대답했다.“죽었어. 한 시간 전에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입장할 수 있었다. 창의나래관에서 테슬라코일, 번개실험 등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니 신기했다. 테슬라코일은 고주파 고전압의 진동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쓰이는 유도 코일이라고 한다. 220V를 80만V로 만들 수 있다니! 놀라웠다.#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된 도시형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배달부!바다에 사는 새우말이나 거머리말 같은 해초도 꽃을 피워요. 땅 위의 식물과 달리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꽃을 피우지요.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해초는 동물의 도움을 받지 않고, 꽃가루를 바닷물에 흘려보내 다른 해초로 이동시킨다고 생각했어요.그런데 최근 멕시코국립자치대학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한다. 사라는 또 한 번 낄낄거리면서 내가 고른 빨간 상자로 손을 뻗었다. 나는 긴장감에 눈을 질끈 감았다.사라의 작전사라가 뚜껑을 연 상자는 놀랍게도 빨간 상자가 아니라 노란 상자였다. 노란 상자는 비어 있었다. 그렇다면 빨간 상자 또는 파란 상자에 보물이 들어 있다. 사라는 노란 상자를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만들어진게 있다. 수학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 수학이 있는 줄 모르지만, 수학자의 눈에는 확실히 보인다.프랑스의 국민 게임 ‘도블’은 카드마다 8개의 그림 중 1개의 그림만 같게 설계돼 있어 같은 그림을 먼저 찾는 게 게임의 규칙이다. 무작위로 카드 2장을 뽑으면 그림이 딱 하나만 같다는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콧구멍 안쪽에 위치한 뇌공, 턱의 후방 표면에 세로로 날카롭게 솟은 뼈의 모양, 눈의 천공가장자리와 떨어진 광대뼈 등 21개의 유사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수각류와 조반류를 함께 포함하는 새로운 분류군인 ‘오르니소스켈리다(Ornithoscelida)’를 제안했다.연구팀은 이전의 분류법으로 설명하기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doi:10.1126/science.aal3794). 1. 산소 발생 광합성 시작, 25억 년 전 이번 연구결과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물을 이용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을 하는 유일한 분류군인 옥시포토박테리아(Oxyphotobacteria)가 이런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이 꽤 늦었다는 점이다. 남세균의 공통조상에서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