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보’에서 노벨상을 발표하기 한 달 전에 주는 괴짜상이다. ‘사람들을 웃게 하고 그 다음에는 생각하게 한다’는 잡지의 신조에 맞게 수상자들의 연구와 시상식은 일단 유쾌하다. 수상소감이 길어지면 꼬마가 나와 ‘그만해. 진짜 지겨워’라고 소리치는가 하면, 지난 수상자가 칼 삼키기 묘기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배경은 계산에서 배제한다. 구분 기준은 색이다. 명암, 색조, 채도가 계산에 쓰인다. 그런 다음 칼만 필터를 적용해 선수들의 형태를 쫓아간다. 칼만 필터는 예측값과 측정값을 조합해 실제값에 가까이 다가가는 알고리즘이다. 선수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0.1초 뒤 위치를 예측하고, 그 예측된 범위 ...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인간의 행동을 83%의 정확도로 예측했다”며 “머지 않아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컴퓨터 학회 ACM의 학술저널 9월호에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깊어 가는 가을에 읽을 만한 책을 추천하는 꼭지에 한 필자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썼다.“과학방면에 있어서는 에딩턴 저 ‘Space, Time and Gravitation’을 읽으라고 권고하고 싶습니다.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소개한 것으로서 고등수학에 소양이 있는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물방울 다이아몬드 반지 세 개가 뒤엉켜 있었다. 그리고 범인이 붙여 놓은 듯한 쪽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이 반지 세 개 중 하나만 끊어서 반지를 분리해라. 그래야 반지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단 기회는 단 한 번뿐. 이를 어기면 전시장 전체가 폭발하게 된다!’썰렁홈즈,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바꾸는 중성미자를 관측하다중성미자는 핵이 분열하거나 융합할 때 생성되는 입자다. 빛 다음으로 우주에 많이 존재하는 입자로, 매 초 태양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으로 방출하는 중성미자 700억 개가 엄지 손톱만한 면적을 지나가고 있다. 물론 우리는 전혀 느낄 수가 없지만, 중성미자는 태양이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논둑에 3m 또는 5m 간격으로 LED 전구를 설치했어요. 그런 다음 논의 가로, 세로면을 각각 x좌표, y좌표로 정했죠. 한 실험자는 x좌표 논둑, 다른 실험자는 y좌표 논둑을 이동하며 개구리가 노래하는 위치를 표시했어요. 마이크로 개구리의 노랫소리도 녹음했지요.그 결과 두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난 9월 17일, 2006년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교수가 화제가 됐다. 83년 묵은 수학 문제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순식간에 풀어 인터넷에 ...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한 수학자가 없는데, 그는 폭넓게 수학 연구를 하고 있다. 타오 교수의 다음 연구 결과가 어떤 것인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독자는 “드론을 오늘 처음 만져 봐서 어색했지만 2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갔어요”라며 다음에 이곳에 또 오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다재다능한 장비이면서 동시에 재미난 놀이기구인 드론으로 또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독자 : 김윤수(동현중 1), 김하은(삼각산중 2), 안효찬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피하지 않았더라면 사망자 수가 무려 15만 명이나 됐을 것이라고 해요.그러나 바로 다음 해, 하이청 서쪽에 있는 탕산시에서 발생했던 지진은 정반대 결과가 나타났어요. 과학자들은 지진을 예측하지 못했고, 24만 명이 넘는 사람이 죽는 참사가 일어났지요.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인명 피해가 큰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