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SNS 얘기를 해 볼까요? 스마트폰하면 SNS를 빼놓을수 없잖아요.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 덕분에 멀리 있는 친구 소식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지요. 그런데 아시나요? SNS의 밑거름에 수학이 있다는 사실!그래프에서 시작한 네트워크페이스북, 인터넷, 신경세포의 공통점은 뭘까? 정답은 ...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그가 꿈꾸는 새로운 조선의 모습도 찾았기 때문이다.세종은 뚜껑이 열린 빈 도시락 덕분에 마방진의 정사각형 안에서만 해법을 찾으려고 했던 자신의 고정관념을 깰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아무 것도 들어 있지 않은 빈 도시락은 1을 자칭한 태종의 시대는더 이상 없음을 의미한다. 태종이 풀었던 1인 ...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수명을 마치고 우주의 미아가 됐다.덩치만 크고 쓸모 없는 위성이었지만, 중국은 이 위성 덕분에 러시아와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다섯 번째로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궤도에 올린 나라가 됐다. 중국의 제2 대장정, ‘창정(長征)’ 발사체 개발중국의 두 번째 장정은 위성을 하늘로 데려간 ... ...
- 고대 바다의 포식자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다리에 뾰족한 가시가 달려 있고,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을 갖고 있어요. 그 덕분에 삼엽충을 비롯한 많은 생물을 잡아먹으며 수억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할 수 있었지요.과학자들은 몸길이 1m 이상의 아노말로카리디드가 유선형의 몸을 이용해 빠르게 헤엄쳐 다니면서 사냥을 했을 것으로 ...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수학 독서를 주제로 한 수학전시회를 열기도 하셨어요. 뛰어난 유머감각 덕분에 선생님의 수업은 언제나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고 해요. 오늘은 특별히기말고사 이후에도 쉬지 않고 수학 공부를 이어가고 있는 인하사대부중 3학년 학생들 6명과 함께했습니다.선생님,‘삼각비’는 왜 배워야 하죠 ...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34권의 이라는 위대한 수학 교재를 탄생시켰다. 끊임없는 연구와 토론 덕분이었다.우리나라에 이런 부르바키와 꼭 닮은 중학생들이 있다. 영훈국제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2010년 12월 기말고사가 끝난 어느 날, 영훈국제중학교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학책을직접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맞춤 쿠폰의 비밀마트에서 어머니에게 딱 맞는 쿠폰을 보낼 수 있는 이유는 적립카드 덕분이다. 적립카드를 이용하면 물건을 산 금액의 일정 부분을 적립해 둘 수 있다. 이 적립금이 쌓이면 경품을 받거나 다시 물건을 살 수 있다. 마트가 이런 적립카드를 만든 이유는 단골을 만들기 위해서다. ... ...
-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학생들의 재능을더욱 키워 주는 굳건한 바탕인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만의 프로그램 덕분일 것이다.이 밖에도 영재원에서는 국내 최초의 전국수학학력인증시험을 개최하고 있다. 인증시험을 통해 학생 스스로 정확히 자신의 수학 실력을 파악해 올바른 학습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 ...
- 깃털처럼 가벼운 금속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그속을 비워 빈 다발을 만들었다. 이 다발은 서로 연결돼 3차원 격자구조를 이룬다. 덕분에 부피에 비해 매우 가벼워 어깨 높이에서 떨어뜨리면 깃털처럼 10초 이상 공중을 떠다닐 정도로 가벼워졌다.충격을 흡수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50% 이상 변형됐다가도 완전히 원상 복귀하는 수준으로 고무와 ...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이런 가설을 생각할 수 있었던 건 오랜 동료였던 미국 록펠러대 미클로스 뮐러 박사 덕분이다. 뮐러 박사는 미토콘드리아와 비슷하게 생긴 하이드로게노솜(hydrogenosome)이라는 세포소기관을 연구해왔다. 하이드로게노솜은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말 그대로 수소(hydrogen) 기체를 부산물로 내놓는다.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