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커다란 소행성의 충돌이다. 6500만년전 지름 10km 크기의 소행성이 멕시코 유카탄 반도 앞
바다
에 떨어졌다. 이 충격으로 지구 전체에 해일과 지진, 화산 폭발, 핵겨울과 같은 저온 기후가 몰아쳐 공룡이 멸종했다는 것이다.공룡의 멸종만이 아니다. 지구 역사에서 모두 5번의 대멸종 사건이 벌어졌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공은 달팽이에게로 돌아간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생물학 권위자인 에릭 칸델 교수팀은
바다
달팽이 군소에서 학습에 관련된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찾아냈다. 또 인위적으로 운동신경세포와 감각신경세포를 연결시켜 시냅스를 만들어 학습과 기억이 일어날 때 분자수준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을 ... ...
제주도보다 큰 빙산, 남극과 충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대형 빙산이다.ESA는 1월초 길이가 120km에 이르는 B-15A가 남극의 드리갈스키 빙설(빙하가
바다
와 만나는 돌출 부분)과 충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B-15A는 1월 중순 드리갈스키 빙설을 5km 앞에 두고 좌초하면서 남극 대륙 로스해 서북쪽 맥머도만을 막았다. 이 때문에 뱃길이 막혀 세계 각국의 ... ...
댐 공사로 망가지는 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의 큰 강 중 반 이상이 댐을 짓느라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 우메오대 크리스테르 닐손 교수팀은 “세계 곳곳에 건설된 댐이 강 흐름을 바꾸고 토양 ... 막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현상이 계속되면 강 하구에서 토양이 심하게 깎여
바다
생태계에 악영항을 줄 수 있다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무타켁’(Mutakek)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춤추는
바다
코끼리’ ‘거친
바다
코끼리’라는 뜻이란다. 영하 14℃의 혹한을 맨살로 부딪치며 비행했으니 그렇게 부를 만하다. 나는 ‘북극곰’이라는 별명이 훨씬 맘에 든다. 이번에 세계일주에 성공하고 나면 그 이름을 붙여주지 않을까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여긴다”고 ‘근엄한 박사’가 만화를 그리는 이유를 밝혔다.“소행성은 왜 꼭 뉴욕 앞
바다
에 떨어집니까. 동해에 떨어지면 안됩니까. 우리 고장 꽃은 있는데 왜 우리 고장 별은 없습니까. 우주를 우리 것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저는 한국인의 잠재력을 믿습니다. 우주 민족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많은 충격을 줬다.갯녹음은 해조류를 먹는 해양 동물이 지나치게 많거나 곰팡이가
바다
로 유입돼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면서 나타날 수 있다. 또 온실효과로 늘어난 이산화탄소가 바닷물에 녹으면서 물 속의 칼슘이온(Ca²+)이 고체인 탄산칼슘(CaCO₃)으로 바뀌어 이를 먹고 사는 무절산호조류가 잘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58일 동안 요트를 타고 세계일주 기록을 세웠다. 그는 하늘과
바다
를 가리지 않고 세계 일주와 모험을 즐기고 있다.영국 BBC방송은 포셋에 대해 “5개 분야에서 100개 이상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중 60개는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된 대륙붕’이란 뜻으로 일 년 내내 얼음으로 덮인 깊이 300-900미터의
바다
를 말합니다.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거대한 빙붕이 녹아 깨지는 것을 목격한 것이지요. 엄청난 얼음덩어리가 굉음을 내며 깨지는 걸 상상해 보세요. 등골이 오싹하지요. 세종기지에서 관측한 결과, 지구 평균 기온이 지난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않은 산호초 생물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호초는 면적으로는 전체
바다
의 1%도 채 안되지만, 해양생물 종의 25%가 서식하고 있는 훌륭한 자연사박물관이다. 또 세계 어획량의 10%정도가 잡히는 황금어장이다.산호초는 해저지진이나 태풍으로 생긴 엄청난 파도나 강한 해류로부터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