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
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미국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9년 4월 18일 방영한 빅뱅이론 274화에 증명 일부를 화이트보드에 적어 등장시켰습니다. 소식을 ... ...
Step1. 눈앞에 보이는 오염 물질부터 나타내자!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주로 측정합니다. 5분 간격으로 12번 측정한 값을 평균 내 그 시각의 오염 물질 농도라고
발표
하지요. 그런데 장비에 이상이 생겨 말도 안 되는 값을 측정값으로 내놓는 경우는 없을까요? 혹시 일어날 이런 문제점을 대비하기 위해 ‘자료 선별’ 과정을 거칩니다. 평상시의 대기 오염도 수치보다 ... ...
Step3. 수학으로 예보 정확도 높인다! ‘자료 동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교수 공동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논문을
발표
했습니다.2016년 5~6월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초미세먼지 측정 결과에 자료 동화를 활용해서 초미세먼지의 주범을 알아낸 것이죠.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배출하는 암모니아를 가장 먼저 ... ...
[과학뉴스] 깃털이 생생! 5200만 년 전 참새 화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골격이 그대로 남아 있지요. 또 당시 새들과 비교해 두꺼운 부리를 지녔답니다. 연구를
발표
한 랜스 그란데 연구원은 “두꺼운 부리는 주로 딱딱한 씨앗을 먹었다는 증거”라며, “당시 새들이 주로 벌레나 물고기를 먹었다고 추측해 왔는데, 이번 연구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어요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대륙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 4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2011년 페루 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사막에서 발견한 화석을 분석했다.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Peregocetus pacificus)로 명명한 이 화석은 약 4260만 년 전에 살았던 원시 고래의 조상으로, 수달처럼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
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스콧과 마크의 텔로미어 길이를 각각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이를 다듬어 ...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우리 은하의 중심부는 평평하지만 중력이 약한 바깥쪽은 휘어진 형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안드로메다 은하에서도 그런 휘어진 형태를 볼 수 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 대상으로 뽑혔다. 이번 대회 선정위원장인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책임연구원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생성될 때 성도 내 공간에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
했다. 가령 비트박서들은 스네어 드럼(뒷면에 쇠 울림줄을 댄 작은 북) 소리를 따라할 때, 방출음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출음은 구강 내 압력을 높인 뒤 공기의 출입을 막은 곳을 열어서 내는 소리다.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의 최전선(Frontiers in Neuroscience)’ 2018년 8월 9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혀와 연결된 신경의 크기가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doi:10.3389/fnins.2018.00534 연구팀은 원시 영장류인 포토(potto)는 음성을 단 두 개만 낼 수 있는 데 비해, 유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