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만들었다. 렌즈도 초기엔 초점 범위의 한계 때문에 원거리 촬영이 어려웠고, 설계기술도
부족
해 화면은 원형이 될 수밖에 없었다. 원 안에서는 정사각형 화면이 최대의 넓이를 가진다.따라서 기술자들은 화면비율을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충해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있는 정도다.물론 매우 연약한 암반이나 흙에 위치하면 로봇의 무게 때문에 지지력이
부족
하거나 지반이 가라앉으면서 기지 구조물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될 수 있다. 보통 땅을 파면 지하수가 흐르고 있는데, 이 지하수 때문에 생기는 부력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콘크리트를 바닥에 ... ...
INTRO 질주하는 10대의 성, 안내 표지판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궁금한 건 무엇이든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넘치는 정보 속에 정작 필요한 지식은
부족
한 게 인터넷이다. 섹스와 로맨스는 넘치지만 일상의 사랑은 없고, 포르노물는 넘치지만 성관계에 따르는 책임은 없다. 그럼에도 학교와 부모는 대중매체와 인터넷에 핑계를 댄다. 피차 민망하게 그런 걸 ... ...
식물나라 '꼬피네' 군단의 반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우리 식물들이 그렇게 되면 안 되겠지? 여기 커다란 나무가 하나 있다. 그 중에서 물이
부족
해서 시든 잎이 하나 있지. 그 잎은 아래의 뿌리로부터 직접 물을 전달받고 있다는 사실. 물은 뿌리에서 흡수되어 나무줄기의 물관을 통해 잎으로 보내진다. 시들어 버린 잎에 물을 전달하려면 몇 번 뿌리에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높은 산이나 고위도 지방에서는 저온, 습한 지역에서는 수분과잉, 사막에서는 수분
부족
그리고 극지방에서는 강한 바람 등이 수목한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수목한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 북극권의 툰드라와 높은 산의 초원 북극권에서는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 ...
나노 분자 헤쳐 모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변한다. 기껏 실험을 해도 예상치 못한 변수 때문에 실패하기 일쑤다. 더구나 경험이
부족
하면 바이러스만큼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는 실험 결과물을 찾아내기도 어렵다.이렇게 불확실한 연구과정을 어떻게 견디냐고 묻자 김 교수는 “불안에 익숙해야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며 살짝 웃는다. 그는 ... ...
공기를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들어가면 산소대신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를 운반하지 못하게 만들지요. 몸은 산소
부족
으로 두통이나 구역질이 나고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요.★이산화황 SO₂·이산화질소 NO₂★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타면서 발생하는 기체예요. 이런 기체들은 목을 아프게 하고 숨쉬기 힘들게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있다혈액의 당분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한다 인슐린이
부족
하면 혈당치가 높아져 당뇨병이 된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만들어낸 인공 인슐린이 1982년 미국의 릴리사에 의해 제품화됐다바이러스 억제인자 인간과 생물의 세포에 바이러스 등이 침입해 들어올 때 그 ... ...
디지털패션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자세히 들여다보면 옷감이 볼링공에 감기면서 마치 고무처럼 조금씩 늘어난다. 사실성이
부족
하다는 말이다.같은 해 필자의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옷감처럼 얇은 구조체가 충돌 등에 의해 어떻게 움직이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즉좌굴 모델’(immediate buckling model)을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항구에 정박 중이던 러시아인들은 연해주 특히 하산 지역에 대한 정보 부재와 수적
부족
으로 어쩔 수 없이 항구를 제외한 인근 지역을 탐색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쁘르제발스키’가 1867년에야 연해주 남단을 탐험할 수 있었던 것이 한 증거다.또 당시 연해주 지역에는 마적단의 횡포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