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0대의 자동차를 성공적으로 시운전했다. 벤츠 자동차 회사는 이미 수년전부터 '확실한
성과
를' 거두어 왔다. 자동차 배출구에서는 유독가스가 아니라 수증기만 나왔다. 다임러 벤츠 회사는 수소를 해면처럼 흡수하는 금속수소화물에다가 연료가스를 결합시켰던 것이다. 이것은 다임러 계열회사의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다만 달베코의 명성덕에 그의 제자로서 인정을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차츰차츰 일의
성과
가 오르면서 마지막 몇해동안은 7-8자리밖에 없는 퍼머넨트 멤버가 되하다. ●―노벨상을 타게한 연구업적면역에 대해서는 생소한 편이었던 도네가와는 면역이 당면한 문제점은 무엇이며 해결의 가능성이 ... ...
초고감도 적외선 센서갖춘 미사일탐지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중거리핵전력) 전면 폐기 조약이 조인되어 세계평화에 밝은 미래가 보여온다. 이
성과
는 미·소가 서로 상대를 꿰뚫어보는 정찰능력의 진보에 의한점이 많다. 사진의 낙타혹같은 모양의 비행기도 그하나. 날아오는 미사일의 탐지시스팀으로서 미국육군이 개발한 AOA(Airborne Optical Adjunct Sensors·항공기 ... ...
브리스티스 사운드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규모가 작아 충분한 연구비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 영국대학의 연구
성과
에 대해 군침을 흘리는 일본업계가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이 된다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뿌리가 아프리카에서 출발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버클리의 연구팀이 이룩한 가장 큰
성과
는 DNA에서 일어난 돌연변이의 수를 세어 '이브'의 생일을 계산해 낸 것. 계산에 따르면 적어도 유전학적으로 볼 때 지금의 모든 인류는 약 20만년전(14~29만년전)에 살았던 '운좋은' 한 여인 '이브'의 후손이라는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사고로 누출된 방사능은 낮은 레벨의 것이며 더우기 그양이 적다고 하여 미국에너지
성과
주정부의 건강조사나 환경조사는 아직도 없는채이다.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사고의 그늘에 감춰져 드리마일원자력발전소사고는 잊혀지려하고 있다. 전지구상에 퍼진 공포의 방사능 소련의 ... ...
원격탐사 가장 실용성있는 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원격탐사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장비 및 인력부족으로 큰
성과
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1979년부터 KAIST 주관의 국가 대형장기과제로 3년에 걸쳐 △위성영상 처리 소프트웨어개발 △농작물 수확량 예측, 수질오염조사, 지하수개발, 국토정보시스팀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한국과학상의 첫 시상식이 지난 12월1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거행됐다. 이 상은 우리나라의 기초과학을 육성하기 위해 올해 처음 제정된 것으로, 노벨상에 버금가 ...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꿈꾸던 한 가지 일에 끈질기게 집착하면 훌륭한
성과
를 거둘 수 있지 않겠습니까.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높고 투습성도 있다. 깃털(새털)은 얽힌 단섬유 틈에 수분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흡습
성과
투습성이 모두 높다. 화학섬유솜은 흡습성은 거의 없으면서 투습성은 대단히 높다. 이런 점에서 볼때 이불은 새털이 가장 좋고 다음으로 화학섬유가 좋다는 결론이 생긴다. 그리고 화학섬유는 벌레가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필연적인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다. 쉽게 말해서 금세기 중반까지 이루어진 과학적
성과
는 모두 응용되었기 때문에 이제 새로운 과학을 위한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시기라는 것이다. 보통 첨단과학분야라고 하면 △ 전자·정보·통신 △ 정밀화학 △ 신소재 △ 생명공학 △ 에너지 및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