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d라이브러리
"
시각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국내 개발 씨앗은 이미 뿌려졌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적용하고 있으며 전자공학과의 박규호 박사팀에서는 삼차원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시스팀을 연구하고 있다. 기타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에서도 설계용 전문가 시스팀을 준비하고 있고 핵공학과에서는 원자로의 사고시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가 시스팀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시스팀 공학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있는데 이것은 손 뿐만이 아니라 손목, 팔목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수의의 혈흔은
시각
적으로도 매우 분명히 구별이 가능하다. 이미지의 머리 팔 발 허리 등의 부분은 물론 온 몸에 고문으로 생긴 상처에 의한 혈흔에서도 논리적인 증명이 가능하다. 수의의 팔을 따라 흐른 피의 흔적은 손목에 못이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강력한 에너지의 힘을 빌어 호스트인 지구상의 여기 저기에 전이를 가속시켰다. 이런
시각
에서 보면 콜럼부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이나 메이플라워호의 이민도 암세포 전이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우월한 문명을 가진 서구인들은 그 때까지 생태계 속에서의 생활을 영위하던 비교적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식물이 유충의 먹이라고는 볼수없으며 제비나비는 산란습성에 따라 그 신호의 감각이
시각
에서 후각으로 이어지는 폭넓은 활동으로 적절한 산란장소를 알아내고 있는 것이다. 큰밀잠자리 큰밀잠자리(Orthetrum triangulare melania SELYS)는 청령목(蜻蛉目) 잠자리과다. 지방에 따라 수컷을 쌀잠자리,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우리는 지구를 태양계 내의 하나의 행성으로 이해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극적인 새로운
시각
이었으며 지구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만물의 역학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하나의 출발점이었다.남극대륙의 황량한 얼음벌판에서, 하와이에 있는 화산의 불타는 화구속에서, 지구최후의 미개척지인 심해의 ... ...
한국정보산업협회 회장 이용태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맞습니다. 국내 정보산업의 아킬레스 건이 바로 이부분입니다. 보다 장기적인
시각
에서 본다면 국민들 대다수의 컴퓨터 인식도가 그나라의 정보산업발달을 가름하는 핵심적 요소가 됩니다.제가 재미있는 예를 하나 들지요. 제동생이 일본에 여행갔을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여행사에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칼날로 쪼개지지 않는 1억분의 1㎝ 크기의 원자라는 것이다.그러나 '라더퍼드'는 우리의
시각
을 원자 크기의 1만분의 1인 ${10}^{-12}$㎝까지 넓혀 놓았다. 그는 1912년에 행한 금박에 α선을 때려 넣어 그것이 산란되는 모습을 조사한 유명한 실험을 통해 원자에 핵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업적을 통해 ... ...
오차는 15만년에 1초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처음으로 수신장치와 태양전지를 합쳐얽은것이라고 자랑하고 있다.가장 정확한
시각
을 새기는 세시움(cesium) 원자시계가 발신하는 진동을 받아 여름시간과 겨울 시간을 교체하는 '윤 초' 까지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이런 교체때에 소요되는 시간 까지도 고려하여 정확을 기하도록 했다.58개의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것은 불가능 했다"는 것이다. 그 만큼 환경문제에 관해서 과학자와 정책 결정가의
시각
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괴리는 발전도상국에서는 훨씬 큰 채로 방치되고 있는 형편이다.발전도상국 가운데서도 공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 한국 멕시코 브라질 등 신흥공업국가들의 환경문제는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반사 흡수산란하여 화상을 표시한다)이므로 밝은 곳에서도 잘 보이고 어른거리거나 하는
시각
장애가 없다. 따라서 TV응용은 당연하다. 종래 TV의 브라운관은, 발생시킨 전자선을 전기장으로 가속시킨 후 형광면에 충돌시켜 발광하여 화상을 만들었다. 따라서 4각뿔모양의 큰 공간이 필요했고 또한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