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누른다. 이렇게 찍힌 사진들은
얼굴
만 빼금하면서 사진 전체가 흐릿하다. 멋진 배경에다
얼굴
만 나오게 하는데 급급했기 때문이다. 여행 중 이런 카메라맹을 만나면 좋은 추억도 망치게 된다.사진 찍기의 기본은 초점을 정확히 맞추는 일과 좋은 구도를 잡는 일이다. 초점 맞추기는 사진의 과학적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 있다. 토이스토리에서 주인공 우디에겐 7백12가지 움직임을 만들어 줬다고 한다.
얼굴
에만 2백12가지의 동작을 입력해 촬영했기 때문에 우리는 우디의 사실적인 표정 연기를 볼 수 있었던 것이다.컴퓨터 그래픽의 또 한가지 장점은 보다 자연스런 동작과 섬세한 표현을 위해 모션 블러(motion blur: ... ...
고품질 투명비누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기분이 드는 비누를 만들어 사용해보자우리가 만든 투명비누를 사용해
얼굴
을 씻으면
얼굴
이 한결 매끈하게 느껴진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 글리세린이라는 물질 때문이다 글리세린의 구조식을 보면 알 수 있듯이(그림1) 문자내에 -OH기가 많이 들어있다. 이것은 물과 구조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물과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치아가 내려와 길어진다. 그 결과 앞니의 치아 사이가 벌어지고 발음이 부정확하게 되며
얼굴
형태도 보기 싫게 변한다. 때로는 귀 밑 턱뼈의 관절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며, 심지어 여러가지 부작용이 복합돼 심리적인 장애가 오는 수도 있다. 따라서 치아를 뽑고 약 1개월 뒤 잇몸이 아물면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취득 등 ‘열심히 공부한 선배’ 로 수업시간에 자주 거명이 되다 보니 후배들에게 ‘
얼굴
은 모르지만 이름은 널리 알려져 있는’ 형편.“기업연구소에서 열심히 일하다가 기회가 된다면 가르치는 직업도 갖고 싶다”는 것이 정박사의 희망이다. 과기대가 KAIST학사과정으로 통합된 것에 대해 ...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오존층을 파괴하는가오존은 지표면에 존재하느냐 성층권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두
얼굴
의 역할을 한다.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은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자외선을 차단해 인간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반면, 지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오존은 도리어 지구상의 동식물에 피해를 준다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거의 없다. 그나마 그것도 비공개를 선택할 수 있다. 설령 정보가 공개된다고 해도
얼굴
을 숨기고 싶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초기에는 이런 익명성이 낯선 사람들간의 의사 소통에 있어서 쑥스러움을 해소해주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사용자도 늘고 서비스도 정착되는 단계에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0을 수의 시발점으로 삼아 10진법을 사용한 것은 마야인이 처음이었다. 그들은 0을
얼굴
눈동자 꽃 그림 등으로 표시했다.경제조직 천문학 일력 숫자 예술 문학 등의 분야에서 경이로운 발전을 이룩했던 마야문명. 그러나 아메리카 대륙 전체를 통틀어 최고의 문명을 자랑하던 마야는 15세기 중엽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의식을 앗아버리는 바닷물 등 투명한 창살에 갇혀서 지내야 하는 생활의 연속이다. 아는
얼굴
들은 멀리 북반구에 있고 돌무더기 위를 스쳐와서 해변을 싸안는 바람소리는 마음을 찢고 피부를 조여온다. 이렇게 쳇바퀴같은 생활 속에서 ‘잊혀져 살고 있다’ 는 느낌이 들고 인근 기지와의 통신과 ... ...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확정된지 며칠 후 '과학동아' 회의실에서 박찬욱기자를 만났다. 동글동글한
얼굴
에 다부진 체격을 지닌 그는 전형적인 한국인이었다. 일찍이 우주비행사는 너무 크거나 작아서도 안된다는 말을 들어왔다. 미르에 타려면 키가 1백63cm 이하이거나 1백85cm 이상이면 안된다고 한다."제 키는 키 1백70cm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