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에너지는 파장이 짧을수 록 크다. 자외선을 형광 안료에 쪼여 발생한 형광빛은 중간에
열
로 소모된 에너지를 빼면 원래 쪼여준 자외선보다 에너지가 줄어든 상태다. 따라서 빛의 파장이 자외선보다 길어져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으로 바뀐다.배우들은 몸에 텡스텐산칼슘이나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겨울에도 얼음이 잘 얼지 않는다. 또 여름이면 얼음이 급격히 녹으며 바다가 더 많은
열
을 흡수하고 지구의 기온을 빠르게 높인다. 지구가 얼음으로 덮이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얼음이 녹는 일은 순식간이라는 얘기다. 이런 현상은 태양과 대기, 바다처럼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꼬리에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도움이 됐고 결국은 생존에 유리했다고 설명한다. 짝짓기 상대를 찾아 구애하다 보면
열
에 한 번은 성공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안될 텐데…’라는 생각에 시도조차 안 한다면 이 사람의 유전자는 대가 끊어지기 때문이다.펠프스 교수팀은 긍정적인 미래를 생각할 때 편도체와 전두대상피질이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내다봤다.2005년에는 극미세 잉크분사기를 개발해 그 해 초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
린 미국 전기전자학회 산하 MEMS학회에서 발표했다. 누구나 고해상도로 출력할 때 잉크젯 프린터의 속도가 느려 짜증난 경험이 있다. 고해상도로 출력하려면 잉크가 분사돼 나오는 노즐의 구멍이 작아져야 하기 때문에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상태로 하는 것굳지 않는 진흙 퇴적물이 건조해 수축할 때 그 표면에 생기는 다각형의 균
열
진흙이 물속에 쌓인 뒤 물이 마르면서 생기는데, 석호·호소 주변이나 하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대부터 동양에서는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을 합쳐 3원이라 하고 지상의 모습이 하늘에 투영된 중요한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동물학박물관 관장 푸가초프 알렉 박사는 “디마를 비롯한 세 전시품은 각각 특별전을
열
수 있을 만큼 학술적, 전시적 가치가 뛰어나다”며 “이들이 한데 모인 전시는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전시품보다 지구의 역사를 보라”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에서 디마를 만나려면 46억년의 시간을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사해 환자의 치료에 이용한다염색체 위에 일정한 순서로 배
열
돼있는 유전자가 감수분
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 있을까. 사람만이 희망이다“관광 분야만 생각하면 내년 여름 시즌에 해수욕장을
열
수 있을 만큼 복원에 진전이 있을 겁니다.”12월 16일 해양오염 방제 경험을 전수하기 위해 태안군을 찾은 유럽공동체 및 유엔(EC/UN) 공동지원단 블라디미르 사하로프 단장은 현장을 둘러보고 희망적인 예측을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뒤에 느끼는 쾌감도 증가한다. 한편 캅사이신을 많이 접하면 TRPV1 채널이 지속적으로
열
리면서 세포 안에 칼슘 이온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와 결국 세포가 죽는다. 즉 입안의 TRPV1 분포 밀도가 떨어지는 셈이다. 그 결과 더 많은 고추를 먹어야 원하는 수준의 통증과 그에 따르는 쾌감을 느낄 수 있다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마찬가지로 모래쥐의 능력도 제각각이었다.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는 “특정한 모음이 다른 모음보다 더 구별하기 쉬운 까닭은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높낮이나 위치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