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뉴스
"
내
"(으)로 총 14,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 있을 것 같은 행성, 대기·물 충분치 않아"...제임스웹 관측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대기 와 물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
렸다. 트라피스트-1 행성계
내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환경의 다른 행성이 있을 가능성은 남아 있다. 8일 과학논문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된 미국 워싱턴대 논문에 따르면 '트라피스트-1e'와 '트라피스트-1f'는 다른 물의 증발이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이용해 미세먼지 촘촘히 측정하는 인증표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미세먼지
내
구리, 납 등 7가지 화학 성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내
유해 성분 중 완전한 용액화가 힘든 크롬이나, 단일동위원소 성분인 코발트는 동위원소 희석 질량 분석법을 사용한 기존 방법으로는 측정이 어려웠다. 공동연구센터는 원자력연의 연구용 원자로 ... ...
국
내
연구진, 신체에 안정적으로 부착 가능한 하이드로겔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구현했다. 탄닌산에 의한 풍부한 가역적 수소결합들로 하이드로겔이 파단되더라도 5분
내
에 완벽히 초기 형태로 자가치유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하이드로겔은 탄닌산의 수소성 특성 덕분에 수분의 침투를 막아 습윤 환경인 우리 몸 환경에서도 수분에 의해 팽윤되지 않고 그 기계적 특성을 ... ...
“이미지를 자연어로 설명하는 AI모델...편견 최소화·맥락 파악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국립컴퓨터과학연구소 연구책임자 겸 구글 리서치 프랑스 연구원은 ‘위키피디아’
내
정보와 사진을 검색하며 지식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대규모 메모리를 만드는 이미지 캡셔닝 전략을 소개했다. 이를 활용하면 사진을 보고 지식이 필요한 질문을 할 때 컴퓨터가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답할 수 ... ...
이경무 서울대 석좌교수 “시각정보 읽어야 거대AI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실제 물리적 시스템에서 AI가 활용돼야 하는 만큼 시스템에서 바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내
재해야 실용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경무 서울대 석좌교수. LG 제공. 밴쿠버=한국과학기자협회 ... ...
광주·대구 등 올해 첫 폭염주의보…월요일까지 불볕더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6.18
누그러질 전망이다. 20일과 21일 전국이 흐린 가운데 각각 남부지방·제주와 전국에 비가
내
릴 것으로 예상됐다. 20~21일 기온은 아침에 18~22도이고 낮에 25~31도일 것으로 전망됐다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밝혔다. 케이건 박사는 “5년
내
로 신약의 성능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내
다봤다. 과연 OI는 실현 가능한 꿈일까. OI가 만들어지려면 어떤 실제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에 대해 '생각'해야 안 우울하다
2023.06.17
그렇다면
내
가 (또는 완전하지 않은 또다른 인간이) 나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생각하는
내
용을 크게 귀담을 필요도 없을 것이다. Teasdale J. D. Moore R. G. Hayhurst H. Pope M. Williams S. & Segal Z. V. (2002).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2) 27 ... ...
장
내
미생물로 초기 치매 환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5
수 있다. 연구팀은 “추후 장
내
미생물을 통한 빠른 치매 진단이 가능해진다면 장
내
환경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치매 치료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며 "치매 진단이 빨라진다면 그만큼 치료의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삼투압 조절 물질이라는 선입견이 작용한 결과 아닐까. 위키피디아 제공 운동 역시 체
내
타우린 수치를 약간 올리는 효과가 있다. 흥미롭게도 근육의 NAD+ 농도 역시 운동으로 올라간다. 운동으로 NAD+가 늘면서 타우린 합성 반응이 더 활발해진 결과일 수 있지 않을까. 이번 생쥐와 붉은털원숭이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