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5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고/서석철]식량문제 해결 생명공학에 길이 있다
동아일보
l
2013.08.13
만들어지는 우수한 품종들은 식물 간 교배가 이뤄지고 수많은 유전자 이입이 발생하며
변이
종이 만들어지면서 품종이라는 명칭으로 우리 식탁에 오르게 된다는 사실을 많은 이들이 망각하고 있다. 자연적인 이 현상은 종의 진화를 야기하는 밑거름의 하나이며 이미 신석기 시대 이래로 농민들은 ... ...
'지구사랑탐사대' 이끈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 '여천생태학상'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8.13
우리나라 청개구리 노래에 지리적
변이
가 있음을 밝히는 ‘청개구리 광고노래의 지역
변이
: 유전자 흐름과 선택 가설’ 논문을 2011년 8월 세계적 학술지 ‘플로스원 (PLoS ONE)’에 발표한 공로를 인정해 여천생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수강자 강연에서 장이권 교수는 동아사이언스와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내 유전자 정보, 언제쯤 쉽게 알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19
국내 처음으로 설립해,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함께 개발한 암 관련 유전자
변이
를 분석하는 ‘한국형 온코맵’ 기술로 표적 치료 영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유전자 분석 시장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암 유전자 분석 비용은 상대적으로 싸졌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 ...
아버지를 존경해 아버지의 무덤양식까지 따른 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6
원경왕후 민씨는 고려 우왕 8년(1382) 방원에게 출가하여 정도전 등이 주살될 때 미리
변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여 방원에게 귀뜸을 해주기도 하고 몰래 무기를 숨겨 두었다가 방원의 군사에게 내어주 기도 하는 등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왕권을 잡은 후부터는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
과학동아
l
2013.06.24
마이코박테리아는 지난 10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유전자의
변이
를 바탕으로 종 사이의 친척 관계를 따져본 결과 아메리카 대륙에 건너간 세균과 중세 유럽에 유행한 세균은 근원이 중동지역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의 ‘족보’가 밝혀진 셈이다. 연구팀은 이 ... ...
[채널A] 전세계 공포 떨게 한 ‘바이러스 3형제’…대유행 일으키나
채널A
l
2013.06.14
김우주 /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바이러스라는 건
변이
가 가능하기 때문에
변이
를 통해서 사람 간 전파가 원활해지는 능력을 갖게 되면 판데믹(대유행)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대비를 해야 됩니다. 문제는 이를 막을 백신이 없다는 겁니다. 그나마 신종 AI만 유일하게 백신 개발 가능성이 생긴 ... ...
여름철 모기 걱정 끝? 사람에 끌리지 않는 ‘유전자 조작 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6.04
‘유전자 가위(ZFN, zinc-finger nuclease)’를 모기의 배아에 넣었다. 이 배아가 성숙된 뒤,
변이
가 일어난 것들을 가려 변종을 만들었다.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이집트숲모기 -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모기 기피제 성분에 대해 유전자 조작 ... ...
동물과 通하였느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5.29
비롯된 언어능력 차이 때문이다. 사람은 ‘언어 유전자’라 부르는 ‘FOXP2’가
변이
돼 고도로 언어능력이 발달했다. 몸짓, 소리, 냄새 같은 단순한 언어만 쓰는 동물과 사람, 진정한 소통을 할 수 있을까?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우리도 이미 동물언어를 많이 알고 있다. 개는 위험할 때 이빨을 ... ...
美 연구진, 황우석 시도한 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김 교수는 “어쨌든 iPSc는 세포 속에 다른 유전자를 임의로 넣어야 하기 때문에 유전자
변이
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며 “치료 목적으로만 따진다면 배아줄기세포에 더 높은 점수를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 사진 윗부분에 배아줄기세포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