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이"(으)로 총 2,5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KOITA l2013.06.17
- 최근 생산라인에 투입되는 2, 30nm대 공정에서는 전자들의 터널링 효과를 막기 위해 홈 사이에 나노소자 절연체를 삽입하고 있다. 2020년대 중후반에 실용화될 것으로 보이는 10nm대 공정에서는 절연체 삽입만으로는 충분치 않아 실리콘 기판의 홈을 덮어서 o자형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문제는 ... ...
- [KISTEP] 제2회 미래포럼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3.06.14
- 전문가 패널 토론은 손병호 KISTEP 미래전략본부장의 주재로 4명의 주제발표자와 김 영 사이넥스 대표이사, 선 경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 등이 참여해 발표내용에 대한 보다 전문가적인 의견교환이 있을 예정이다. 이준승 KISTEP 원장은 “100세 시대의 헬스케어는 육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 ...
- 악어도 감전사시키는 전기漁, 자신은 멀쩡한 이유!KISTI l2013.06.12
- 안쪽은 음전하의 농도가 높고 바깥쪽은 양전하가 농도가 높은데, 이렇게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전위차가 나타나는 것을 막전위(membrane potential)라고 한단다. 그리고 이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발생하게 되지. 보통은 안정적인 막전위를 나타내지만 흥분성 세포, 즉 신경세포나 근육세포가 흥분을 하면 ... ...
- 올해 250주년 맞은 베이즈 정리, 과학을 정복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6.12
- 스탠퍼드대 통계학과 브래들리 에프론 교수는 베이즈 정리 250주년을 맞아 6월 7일자 ‘사이언스’에 기고한 논평에서 “오늘날 응용 통계학 저널에 기고한 논문 가운데 4분의 1은 베이즈 정리를 사용한다”며 “대부분은 불확실한 사전 정보에 기초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뇌는 베이즈 ... ...
- 무촉매, 무패턴 나노선 대면적 합성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6.11
- 있다. 최경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고자 실리콘 기판과 III-V 반도체 물질 사이의 격자상수 차이에서 발생하는 strain을 이용하여 무촉매, 무패턴 방식으로 반도체 나노선을 성장하였다. 특히, 실리콘 기판의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화합물 반도체인 InAsP 나노선을 2인치 실리콘 웨이퍼 ... ...
- “나노기술 사업화 위해서는 꾸준한 지원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3.06.02
- 내용은 국가 과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인터넷 과학신문(www.dongaScience.com)은 대한민국 나노기술계를 지원하는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기술 과학자, ... ...
- 휘어지는 투명 유기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5.30
- 따라 전류의 흐름을 온/오프할 수 있는 광(光) 스위칭 기능도 담았다. 이때 그래핀이 사이에 놓인 분자막의 휘어짐을 붙잡아줘 반복적인 광 스위칭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실험(그림 4. 참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교수는 “그래핀과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 ...
- 구리 vs 구리KOITA l2013.05.30
- 거의 다 되어서 외근 나갔던 정대리가 복귀하고 화장실 다녀오느라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윤 과장이 골똘히 생각에 잠겨있는 나에게 웃으면서 말을 걸어 옵니다. “구리는 문제없네요, 선배님.” “문제없긴. 너 사태 파악하려면 아직 멀었구나.” 그 소리를 듣자 나는 더 스트레스를 받아 목소리가 ...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KOITA l2013.05.28
- 최근 언론과 인터넷, 정계를 뜨겁게 달군 뉴스가 있었다. 바로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폭행 사건. 윤 씨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외교부 여성 인턴을 성폭행한 후 대통령 수행단과는 별도로 한발 앞서 귀국했다. 윤 씨와 청와대의 주장이 서로 엇갈리는 가운데 입장을 정확히 밝히지 ... ...
- [채널A] 옥상정원이 기온 낮춘다…최대 8도 ‘뚝’채널A l2013.05.27
- 40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 연간 강수량은 줄지 않았지만 최근 50년 사이 서울 땅의 절반이 아스팔트 등 비를 머금을 수 없는 불투수 면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 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비를 머금을 수 없는 면적,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면적이 서울의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