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한한 사람들이 사는 섬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08
부족하지 않게 먹을 수 있어요. 이 모든 것은 우리 섬에 무한히 많은 사람이 살기 때문에
가능
한 일이죠.” 섬에 도둑이 들었다?!와~! 이제 끝으로 제 차례가 됐어요. 무한도 이야기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된 저는 우현이에요. 이제 무한도 사람들은 부족하지 않게 세 종류의 과일을 먹을 수 있게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08
경제모형으로는 예측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다른 분야에서도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
성이 높습니다.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응용과학 분야도 마찬가지죠.”오정근 팀장은 “기존보다 더 빠르면서 정확한 예측 모형이 있으면 미래를 잘 대비할 수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 ...
[수학영재캠프] 가짜 금화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108
하나 섞여 있다. a개는 가벼운 가짜일
가능
성만 있는 금화이고, b개는 무거운 가짜일
가능
성만 있는 금화이다. 그리고, 이들 외에 진짜임이 확실한 금화를 하나 갖고 있다. a+b≤3n이면 n번의 저울질로 가짜를 항상 찾아낼 수 있음을 보여라.가벼운지 무거운지 모르는 가짜가 하나 포함된 n개의 금화가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08
동안은 기존 화석연료에 비해 비경제적이겠지만 이런 환경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충분히
가능
성이 있는 사업입니다.”지구의 대기에 산소가 거의 없던 30억 년 전 바다에 나타나 광합성을 하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소모하고 산소를 내뿜으며 오늘날 지구의 대기를 만들어낸 미세조류. 육상생물의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08
됐다. “연습생 기간이 길고 힘들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노래하는 동시에 춤을 추는 일이
가능
한 거겠죠? 미국과 유럽에도 어린 스타들이 있지만 한국 아이돌처럼 ‘완성된 스타’는 없어요.” 파리 근교 베르생드니에 살고 있는 소니아 뒤졸르 씨는 케이팝에 매료된 첫 번째 이유로 ‘아이돌의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08
대한 반응이 느린 편이다. 그래서 아열대가 되더라도 제주 바다를 지키고 있을
가능
성이 높다.자원 풍부해지는 ‘아열대 바다’ 활용해야전문가들은 아열대 바다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우리 바다에 어떤 수산자원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대수 소장은 “새로 나타난 어류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08
과학의 창시자인 저자에 따르면 사람의 행동에는 패턴(규칙)이 있고, 심지어 예측도
가능
하다. 아직 초창기 연구이기 때문에 거쳐야 할 산이 많지만, 사람을 보는 관점 자체에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는 폭발력이 있으니 주목할 만하다.이제 여행을 정리해야 할 때다. 차분하게 과학과 종교의 400년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08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플래시메모리는 반도체와 같은 우리나라 산업의 핵심이 될
가능
성이 크다.“99%의 완성도를 만드는 것은 쉽습니다. 하지만 100%의 완성도를 가진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그때까지 들였던 노력의 5~10배를 들여야 합니다. 그 1%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한국 플래시메모리의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연구팀이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
성도 제기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충격적인 논문을 싣겠다는 ‘사이언스’ 지 편집자의 욕망을 이기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가)~(라) 과학동아 201 ... ...
유전자로 과거 인구 변동 안다
과학동아
l
201108
돌연변이가 더 많이 일어난 생물은 돌연변이가 적게 일어난 생물에 비해 먼저 존재했을
가능
성이 높다. 따라서 여러 생물의 돌연변이 비율을 비교하면 그 생물이 언제 등장했고 다른 생물과 어떤 계통수를 이루는지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에게 적용하면 각 지역에 사는 인류(인종)가 언제 어느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