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친구들이 애니메이터가 되는 그 때는 아마 세계에서 가장 애니메이션을 잘 만드는
나라
가 될 거야.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빛낸 작품들이에요〜 세상에서 가장 멋있는 세계현실보다 더 진짜 같고, 현실보다 훨씬 재미있고, 현실보다 훨씬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의 세계.처음 만들어진지 100년도 지나지 ... ...
거울여왕 '에또 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썰렁홈즈는 다무러를 찾기 위해 거울 속으로 따라 들어갔다. 에또 반사가 사는 거울
나라
는 과연 어떤 곳일까? 썰렁홈즈는 무사히 다무러를 구출해낼 수 있을까?mission 1조각 거울이 가리키는 곳?거울 속으로 들어간 썰렁홈즈는 커다란 거울 앞에 도착했다. 하지만 거울의 모습이 조금 특이했다. 아니,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천체들을 한꺼번에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이지요. 우리
나라
도 이제 곧 대형망원경을 가진
나라
가 되어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해 봐요~. ➊레몬산 천문대의 돔.➋보현산 천문대 1.8미터 반사망원경.➌레몬산 천문대의 1미터 반사망원경 ... ...
바닷속에 정말 문무왕의 유물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바닷속에 왕의 시신을 묻다니 어찌된 일일까요?파도가 치면 시신은 어디론가 떠내려 갈 것이고 물고기들이 순식간에 시신을 뜯어먹을 수도 있을 텐데 과연 ... 문무왕. 죽어서도
나라
를 지키겠다는 그의 의지가 150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우리
나라
를 보호해 준 것 같아 가슴이 뭉클해 집니다 ... ...
비밀의섬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선을 넘어서 반칙이고, 저노피 띠옹은 막대를 손으로 잡았다. 우승자는 ❸ 아주마니
나라
바 네 번째 문제의 정답그림의 미로를 잘 따라가 보자. 가장 먼저 뛰고 있는 선수는 ❷ 맬마다 지구도라다 마사이족을 이길 수는 없다?!비밀의 섬‘안보여도’의 육상대회가 모두 끝났다. 역시 예상대로 ... ...
시민천문대를 방문한 우주신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천문대들은 아무 때나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별을 보여 줄 수 없습니다. 이것은 세계 어느
나라
나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항상 별을 볼 수 있는 천문대는 따로 있는데 이것을 시민천문대라고 부릅니다. 시민천문대에서는 별자리 안내부터 다양한 천체 관측까지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금은방을 운영하면서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지금 쓰고 있는 척관단위는 일본이 우리
나라
를 지배하면서 거래 단위를 통일시키는 과정에서 정해진 것이다. 대한제국이 도량형에서조차 일본에 예속되면서 일본이 우리 경제를 수탈하는 길을 열어준 사건의 잔재인 셈이다. 역설적이게도 현재 척관법의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켜고 수박을 먹으며 경기를 보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마음이 텅 빈 것 같아.우리
나라
팀이 활약했던 경기를 녹화해 두고 벌써 열 번째 다시 보고 있어.공부도 할 수 없고 기분도 우울해. 밥도 먹기 싫어.월드컵 증후군 이겨내기황상민 교수: 열광적인 응원이 끝나면 우리 몸에는 변화가 생기지. ... ...
기획1. 모바일 三國志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거리를 두는 대안적 공간의 성격이 강하다. 유비쿼터스 코리아 어디로 갈까?우리
나라
는 정부가 90년대 말부터 일반 가정에 초고속 인터넷 보급에 앞장서온 결과 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를 줄곧 지켜왔다. 휴대전화 인터넷 사업도 정부의 ‘유-코리아’(U-Korea, Ubiquitous Korea) 정책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하면 ‘단정학’이라고 부르는 새다. 140cm의 훤칠한 키에 하얀 깃털을 가진 두루미는 우리
나라
겨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 됐다. 겨울철 진객(귀한 손님)인 두루미는 머리에 ‘빨간색 모자’를 뒤집어쓰고 있다. 자세히 보면 깃털이 없는 붉은색 피부다. 번식기에는 더욱 붉게 빛난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