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발전소다. 만일 핵융합 발전이 성공하면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인류
가 문명을 마치는 그날까지 계속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3.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연구를 하다가 짬이 나면 유머를 얘기하기 좋아했다. 한번은 영국 태생의 프린스턴대
인류
학자 애슐리 몬터규가 두 유대인 재단사에 대한 유머를 들려주었다. 이 유머는 아인슈타인이 배꼽을 잡고 웃었다고 전해지는 것이다. 몬터규는 유대인 어투로 말했지만 편의상 여기선 경상도 버전으로 간다 ... ...
인류
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기능을 하게 진화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라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인류
를 포함한 포유류에서는 털과 발톱을 만들 때 발현되는 반면, 닭에서는 부리나 깃털에서 발현된다. 또 서로의 게놈을 비교해보면 진화의 과정에서 각각 어떤 유전자를 얻었고 잃었는지를 알게 돼 그 기능을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논쟁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둘러싼 논쟁은 끊임없이 반복됐다. 한쪽에서는 ‘
인류
철학사와 과학사에서 가장 뛰어난 성취’라는 찬사를, 다른 한쪽에서는 ‘형편없는 사기꾼’ ‘이해할 수 없는 이론을 적당히 포장한 사람’이란 비난을 듣기도 했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말을 의식한 듯 자신의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이야기를 나눈다. 왕비는 예언자에게
인류
의 미래에 대해서도 질문한다. 예언자는
인류
가 먼 훗날 현재의 사람 모습이 아닌, 영혼은 사람이되 식물처럼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우…리…의…고…향…은…지…구…야…지…구…를…살…려…야…해"벼리는 하나에게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969년 7월,
인류
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바로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것이지요. 계수나무 한 그루 아래 토끼 두 마리가 떡방아를 찧고 있으리라 생각했을 만큼 멀었던 달나라. 인간이 과학의 힘으로 달에 도착한 사실은 전 세계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했어요. 우리나라도 예외는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뛰어난 조각가 미켈란젤로. 그러나 그의 여성 조각상은 대가의 작품이라기에는 석연치 않다. 몸도 근육질인데다 유방의 위치도 어색하다. 그만큼 세밀한 ...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 ...
최고권위의 발명 사이트 - http://web.mit.edu/invent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에디슨 이후 최고 발명가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레멜슨-MIT 프로그램은 발명을 통해
인류
의 삶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준 숨겨진 인물을 찾아서 이에 보답해 젊은이들의 발명과 혁신을 고취시키고, 발명가의 위상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미래의 발명가에게 풍부한 교육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담당했다28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인류
학 교수가 되었으나 34년 나치스 지배하의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건너갔다동년 베이징의 협화의학교(協和醫學校)에서 베이징 원인(시난트로푸스) 화석을 연구하던 D 브라크교수가 갑자기 죽자 그 후임자가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지만 달릴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들은 “장거리 주행 능력은 현생
인류
가 속하는 호모(Homo) 속(屬)이 등장한 약 200만년 전에 갖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이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구분되는 면”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이들은 왜 장거리 주자가 됐을까. 리버만 교수는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