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방식 달라앞으로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대학 영재교육원의 하위 단계의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대학에서 영재교육을 받고자 한다면 영재학급이나 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입학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영재학급과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경쟁률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우리나라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빛을 반사하지도 않는다. 대신 빛(마이크로파)이 휘어 지나가게 해 마치 물체가 그
자리
에 없는것처럼 속인다.이 밖에 천문학 분야에선 ‘우주의 대부분이 암흑물질(22.7%)과 암흑에너지(72.8%)로 돼 있다’는 사실을, 고고학에선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와는 다른 종이라는 사실’을 꼽았다. 세포학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등 SF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레이저 총도 있다.➏ 훈련기 KT-1의 모형을 조립해 볼 수 있는
자리
도 마련해 놓았다.국내에서 개발한 휴대용 대공 유도무기 ‘신궁’을 발사하려고 아이들이 길게 줄을 섰다. 진짜 무기가 아니라 가상 현실 장치다. 화면에 적군의 전투기가 보이자 장치에 앉아 있던 아이가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역사를 구분하는 이름이에요. 돌을 주로 사용하던 석기시대 사람들은 우연히 불이 꺼진
자리
에서 흙이 녹아 만들어진 금속을 발견하게 됐어요. 그걸 보고 여러 금속을 섞다가 구리와 주석을 섞은 최초의 합금인 청동을 만들게 됐지요. 이 청동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전 약3000년 전을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자신이 주목받던 시절을 회상하기 좋아하며, 현재 상황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자신의
자리
를 수정시계가 빼앗았다고 생각하고 수정시계의 꼬투리 잡기를 좋아한다.해시계‘무식하면 용감하다’라고 했던가. 워낙 오래되다 보니, 요즘 시대와는 동떨어진 생각을 하고 있다. 느긋함의 표본. ... ...
Part 4. 진정한 수학스타 탄생을 위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진학하면서 명문대 수학과는 의예과를 제외한 자연계에서 합격점수가 가장 높은 학과의
자리
를 지키고 있다”고 말했다. 수학영재라면 수학과를 간다는 이미지가 굳어졌기 때문이다. 신석우, 한린, 최서현과 같은 선배들이 세운 전통이 한국 수학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우리나라 사람이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말했다.안데르손 부총장은 최근 한국 정부가 20~30대 신진과학자 100여명에게 5년간 일
자리
와 연구비를 제공하는 ‘노벨 과학상 프로젝트’를 시작한 데 대해 “젊은 과학자의 연구를 지원하면 매우 창의적인 주제가 나올 것”이라면서 “한국의 첫 노벨상 배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어느 쪽도 요구하지 않았다고. 그런데 이들 네 사람은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하려고 이
자리
에 모인 것일까.“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는 초고체 현상이 극저온에서 고체헬륨이 보이는 본질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결정의 결함 때문에 일어나는 것인지를 밝히는 일입니다.”챈 교수의 말이다. 고체헬륨은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다물고 기술자들에게 몸을 내맡긴 장군은 말이 없었다. 어서 이 휴가를 끝내고 빨리 제
자리
로 돌아가 도성을 지키고 싶은 마음뿐인 듯했다.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장군은 평온하고 건강해진 모습이었다. 그래도 장군은 역시 광화문 사거리의 가장 높은 곳에 위풍당당하게 서서 도성을 지켜야 진짜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불을 밝힐 수 있지요. 형광등이나 LED 같은 다른 조명 장치에 비해 효율이 낮아서 점점 설
자리
를 잃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2013년까지만 전구를 사용할 예정이랍니다.LEDLED는 1962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닉 호로니악 박사가 개발했어요. 상황에 따라 전기가 흐르기도 하고 흐르지 않기도 하는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