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d라이브러리
"
큰물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물리학과 학생들은 상대성이론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는 ‘상대성이론 100년을 말한다’특집에 맞춰 3개 이공계 명문 대학 물리학과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상대성이론의 이해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이 조사에는 모두 157명이 참가했다. 설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Annus mirabilis.경이의 해 혹은 기적의 해를 뜻하는 라틴어다. 1667년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이 ‘기적의 해’라는 시에서 처음 쓴 말이다.그는 흑사병과 런던 대화재, 네덜란드와의 전쟁으로 점철된 1666년을 영국 역사에서 경이의 해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모두 악몽의 해로 기억했지만 그는 오히려 16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04년은 관측이래 네번째로 더운 해였다. 더웠던 해 톱10 가운데 9건이 지난 10년 사이에일어났다. 기록적인 빈도의 허리케인과 태풍 등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로 보험업계의 비용도 최고치를 경신해 총 350억 달러(약 37조원)의 손실이 있었다.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조명도수확예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이라는 말은 아인슈타인과 동급으로 취급될 만큼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만약 이 이론들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이제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세상에서 제일 빠른 것이 있는가? 만약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우주의 최대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날아가는 새들 바라보며 나도 따라 날아가고 싶어∼ 파란 하늘 아래서 자유롭게 나도 따라가고 싶어∼”가수 변진섭의 노래 ‘새들처럼’의 가사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지만 땅이라는 2차원 세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새들은 3차원 공간을 비상하며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특히 어느 ... ...
도나카와 안스네가 남긴 유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일본의 소문난 구두쇠인‘도나카와 안스네’는 얼마 전에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가 남긴 유산은 일본의 한 시골 마을에 있는 거대한 집 한채. 소문에 의하면 그 집에는 도나카와 안스네가 평생 모아둔 재산이 담긴 보물 상자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평소 의심이 많았던 도나카와 안스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1960년대 초반, 눈부시게 햇살이 따가운 여름날이었어요. 강원도 강릉의 한 시골 개울가 어귀에 소를 묶어놓고는 개울 속의 가시고기를 관찰하던 소년이 있었습니다. 눈이 시리도록 맑은 물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가시 달린 신기한 물고기를 보고 있노라면 시간 가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스페인에서 인간과 고릴라 등 대형유인원의 공통 조상 중 가장 최근의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견됐다. 이 유인원의 이름은 ‘피에롤라피테쿠스 카탈라우니쿠스’.연구팀은 바로셀로나시 근처 피에롤라 엘스호스탈레츠에서 이 화석을 발견했다.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의 자기공명(磁氣共嗚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온나라가 온통 ‘웰빙’ 열풍에 휩싸였던 2004년 한 해가 이제 저물어 간다.올해도 과학기술자의 열정과 노력에 힘입어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다.그 중에서 우리 삶에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것은 과연 얼마나 있을까. 과학동아가 지난 한 해 국내에서 출시된 다양한 연구성과와 신제품 가운데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거, 분명히 화강암이잖아!”울릉도 저동 지역에 있는 부석(물에 뜨는 돌)층을 조사하다가 그 안에서 작은 화강암 조각을 발견한 필자는 눈을 의심했다. 울릉도는 화산섬이기 때문에 조면암이나 현무암 같은 화산암이 대부분이라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필자는 나리분지 부근과 석포동, 울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