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속 193km/h로 날릴 수 있지요. 사람들은 두 로봇이 배틀에서 팔에 달린 무기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요.한편 퓨리온의 ‘로보틱스’는 레이싱용으로 개발된 거대로봇이에요(아래 왼쪽). 게처럼 생긴 외골격이 특징이지요. 로보틱스 한가운데에 사람이 직접 타서 안전벨트를 메고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작했다.수업은 크게 두 번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수업은 각자 공기청정기 키트를 활용해 나만의 문구를 새기고(3D 모델링, 레이저 커팅기 체험), 직접 조립하는 기초과정이다. 두 번째 수업은 앞서 만든 공기청정기에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 붙인 뒤, 아두이노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수 있었다. 캔이 정보를 인식하는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다. 캔으로 처리하던 기존 신호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많은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새로운 장치들의 신호는 높은 주파수 영역대에 실어 보낸다. 캔은 높은 영역대의 주파수를 인식하지 못하기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생각이 퍼졌습니다. 하지만 그 의미는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온톨로지를 활용한 다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의미를 읽는 새로운 눈언어학 또는 인지심리학의 ‘분산 가설’은 어떤 단어의 의미나 기능은 그 단어 주위에 어떤 단어가 있는지로 정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용준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미생물을 활용해 방사성 요오드 폐기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사성 요오드가 잘 들러붙는 금 나노입자를 방사능에 강한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의 몸속에 넣었다. 방사성 요오드를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성공했다. 백 교수는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나노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실제 응용성에 큰 비중을 두고, 주변 환경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다녀도 충전이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격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연구자들은 막혀있는 면역세포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암을 궤멸시킬 방법을 반세기전부터 고민해왔다. 면역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사이토카인을 직접 주사하거나, 환자의 종양침윤임파구를 분리해 실험실에서 활성화시킨 뒤 다시 환자에게 주사하는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후각이 예민해요. 그런데 최근 일본 도쿄대학교 안도 노리야스 교수팀이 나방의 후각을 활용할 수 있는 특이한 로봇을 만들었어요. 바로, 나방이 직접 조종하는 로봇이랍니다.이 로봇에는 나방이 탑승하는 부분에 커다란 공이 하나 놓여 있어요. 나방이 가고 싶은 방향으로 공을 굴리면 로봇은 공이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중”이라고 말했다.상업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도 있다. 복합소재로 활용하려면 나노셀룰로오스와 플라스틱을 섞어야 한다. 그런데 나노셀룰로오스는 물과 잘 결합하는 특성을 지닌 반면, 복합소재에 많이 쓰는 플라스틱 수지는 물과 결합하지 않는다. 마치 물과 기름처럼 둘이 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어요. 심지어 예술을 전공하신 분과도 협업했지요. ‘키네틱 아트’라고 로봇을 활용한 ‘움직이는 예술’을 주제로 전시회도 열었거든요.이처럼 로봇을 만드는 데에는 다양한 학문이 필요해요. 그래서 로봇 공학자를 꿈꾸더라도 여러분의 나이 때에는 하고 싶은 걸 다양하게 체험했으면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