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감기 바이러스 '면역 기억', 신종 코로나도 통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1.05.28
회피' 진화 흔적을 발견해 학계에 보고했다. (저널 'eLife') 계절성 인간 코로나 4종의
유전
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보니, 절반인 2종(OC43, 229E)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높은 비율의 '항원 변이'가 발견됐다는 게 요지였다. 하지만 이때 발견된 변이는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감염할 때 도움을 주는 ... ...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 희귀 혈전증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혈전증 사례가 309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
유전
자의 전달체 역할을 하는 아데노바이러스가 정상적으로 세포액으로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세포핵으로도 들어가는 데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아데노바이러스가 세포핵으로 들어갈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 ... ...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들은 각각 고유한 미생물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이달 26일 국제학술지 ‘셀’에 세계 각국 지하철과 버스에서 그간 모은 미생물 DNA
유전
자를 비교 분석한 첫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한국에서는 장수진 한국파스퇴르연구소 항생제내성연구팀장이 연구에 참여했다.이들이 내린 첫 결론은 전 세계에서 미생물은 비슷하게 발견되지만 각 사회마다 ... ...
코로나 백신 전쟁의 스타는 제약사 아니라 생명공학기업
2021.05.27
사용된 건 이번에 mRNA를 이용한 코로나19 백신이 처음”이라며 “RNA는 이론적으로 모든
유전
자를 타깃으로 삼을 수 있고, 염기서열 정보만 알면 3주 만에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만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시험관에서 생산하고 세포주를 이용하지 않아 불순물이 ... ...
백신 개발에 결정적 기여한 英 방사광가속기…경제효과 2조900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영국 변이 바이러스(B.1.1.7)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수용체 결합 영역(RBD)에 나타난
유전
자 변이 하나를 다이아몬드로 확인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미국 화이자 백신 접종자에게서 면역 회피가 나타나는 이유임을 밝혀낸 논문이 실렸다. 또 다이아몬드로 남아프리카 변이 바이러스(B.1.351)의 ... ...
"사람 배아, 2주 이상 배양 허용해야" 줄기세포학회 새 가이드라인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연구 등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복적인 유산과 선천적·
유전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ISSCR 가이드라인 태스크포스(TF) 회장인 로빈 로벨-뱃지 프랜시스크릭연구소 그룹리더는 “인간 배아가 14일에서 28일 동안 발달되는 과정을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김민경·소순애 석박사통합과정생, SPIE 광공학 장학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교수 연구팀이 프랑스 소르본대와 공동으로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특이적 체성 돌연변이
유전
자를 뇌척수액에서 검출했다고 26일 밝혔다. 난치성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 돌연변이로 발생하는데 뇌혈관 장벽에 막혀 돌연변이 DNA가 혈장에서 검출되지 않아 원인을 찾기 어려웠다. 뇌척수액에서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다. 2013년과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유전
학’에는 수박의
유전
자 지도가 공개됐는데, 이 연구도 중국 연구진이 발표했다. 이 교수는 “한국 수박은 육종 기술을 이용해 세계에서 당도가 가장 높고 과육이 아삭해 인기가 많다“며 “최근 중국에서도 이른바 호피 무늬가 ... ...
흰동가리 '니모' 독특한 흰줄무늬 서식지 말미잘 영향 받아
연합뉴스
l
2021.05.26
융단열 말미잘에 서식하는 흰동가리에서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유전
자의 활동이 늘어나 갑상샘 호르몬을 늘린 것으로 분석하면서 융단열 말미잘의 독성이 더 강해 이에 대한 스트레스로 흰동가리의 갑상샘 호르몬 분비량을 늘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라우뎃 교수는 "흰 줄무늬 ... ...
'백신 효과' 믿던 영국도 위협하는 인도 변이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관련이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체를 일부 바꾼 변이로 감염력이 더 높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영국 일부 지역에서는 감염자의 대부분을 차지해왔던 영국 변이바이러스 B.1.1.7을 B.1.617.2가 대체하고 있다는 분석과 우려도 나온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