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뉴스
"
지식
"(으)로 총 2,7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대학생 창업 활성화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3.10
‘대학의 혁신 패러다임’으로 KAIST 이광형 미래전략대학원장이 기업가정신 교육,
지식
재산권(IP) 발굴 강화 등 대학창업 활성화를 위한 7대 정책제언을 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미국 스탠포드대 재학생과 졸업생, 교수가 창업한 기업의 총 연매출액이 프랑스 국내총생산(GDP)과 비슷하다는 점을 ... ...
"약육강식의 기업 세계, 목표가 명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좌우명을 되새기며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려 노력했다. 문 부장은 “그동안 쌓아온 전문
지식
을 사회에 기부할 기회가 생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신정 과장 ■ 박신정 현대엔지니어링 과장 “자신의 상태에 만족하십니까?” 현대엔지니어링 박신정 과장은 직장에서 행복하려면 자신이 ... ...
"경쟁이 두렵다면 연구자의 길 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정 연구원은 “너무 앞서서 미래를 걱정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 차근차근
지식
을 쌓다보면 언젠가는 자기 분야에서 인정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 조혜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혜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식물 유전자의 환경적 스트레스 내성기작과 ... ...
아들에게 꼭 알려 주고 싶은 세상의 모든 질문들
수학동아
l
2014.03.05
어설픈 아빠 조교의 시범 정도로 여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자녀 교육에 대한
지식
과 가치관을 얘기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 말대로 이 책에는 자녀와 멀리 떨어져 있는 기러기 아빠들이 지혜로운 부모가 되기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관한 일종의 조언이 담겨 있다. 저자는 가장 ... ...
깨알 같은 익살로 가득 채운 통계 교양서
수학동아
l
2014.03.05
넘기는 여유 있는 모습을 보여 준다. 더 궁 금한 내용은 수학적이고 세부적인 통계
지식
을 담은 부록 ‘수학동굴’에서 찾아보면 된다. 이 책은 통계에 대해 배워 보고 싶지만, 딱딱한 통계책은 읽을 엄두가 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좋은 입문서다. 게다가 만화에 익살스러움이 살아 있어 ... ...
밤하늘 보며 천문학자 꿈 키운 소년 교과서에 실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바로 2005~2011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박석재 박사. 2009년 박 박사가 네이버 ‘
지식
인의 서재’에 작성했던 글이 지난해 8월 교육부 검정을 통과한 국어1(천재교육) 교과서에 ‘독서가 삶을 변화시킨 사례’로 소개된 것이다. 박 박사는 어린 시절 당시 대표적인 과학잡지였던 ‘학생 ... ...
역사와 함께 호흡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발명가의 끊임없는 불만이 곧 혁신으로 이어지는 길임을 주장한다.
지식
을만드는
지식
제공 ◆ 성운의 왕국(에드윈 허블 著, 지만지 刊) 천문학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으로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을 꼽는 이들이 많다. 우주상에 존재하는 모든 은하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2.28
못 미치며 현재 알고 있는 어떤 별과 비교해도 60분의 1 미만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지식
과 어긋나는 것으로,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원시 별은 질량이 매우 크고 철 같은 무거운 원소를 갖고 있어서 이런 별이 격렬하게 폭발하는 현상인 초신성으로부터 철 등의 원소가 방출돼 우주에 퍼졌다고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수수께끼를 던진 셈이다. 문득 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의 말이 떠오른다. “
지식
이라는 섬이 조금씩 커질수록, 무지라는 해안선은 따라서 늘어난다 ... ...
연극과 미술에 '풍덩' 뛰어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세포 단면의 독특한 무늬 사진을 구해 작품으로 완성하는 식이다. 과학적
지식
의 한계를 느끼던 김 교수는 2009년 아예 서울대 인지과학협동과정에 입학해 이곳에서 만난 치대 김홍기 교수, 의대 전주홍 교수 등과 함께 본격적으로 과학이 가미된 작품 활동에 돌입했다. 올해 3월부터는 학교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