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03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伊연구
팀
, 암흑물질 후보 ‘윔프’ 관측 주장 사실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시그마의 신뢰성까지 올라간 것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연구단장은 “다마
팀
과 동일한 고순도 결정 검출기에서 데이터를 얻고 분석 방법까지 같지만, 3년의 추가 검증 과정에서 앞으로도 분석 방법과 신호에 따라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며 최종적인 결론을 내기 위한 자연스러운 검증 ... ...
글로벌 AI 인재 양성 위해 KAIST-구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두 교수는 1년간 각각 5만 달러(한화 약 6000만 원) 지원을 받아 구글 연구원, 엔지니어들과
팀
을 이뤄 연구 중이며 성과에 따라 최장 2년까지 프로젝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올 9월 AI 대학원 개원을 앞둔 KAIST는 이번 구글과의 협력을 계기로 국내 최고의 AI 교육, 연구기관으로서의 위상을 ... ...
3차원 반도체 초미세 패턴 제작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자연적으로 경계면을 형성하게 해 수직으로 배열할 수 있었다. 게다가 연구
팀
은 실제 반도체 공정에서 이 기술을 이용해 3차원 입체구조 트랜지스터로 사용되는 핀펫을 흉내 낸 3차원 구조를 구현하고, 미세 화학 패턴 위에서도 결함이 거의 없는 10nm 이하의 수직 줄무늬 패턴을 만드는 데도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민간 주도 달 탐사의 장점은 더 싸고 빠르다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우주공학 권위자인 요시다 카즈야 도호쿠대 교수 등이 포함된 핵심 실행
팀
의 기술력을 보고 사업의 성공을 믿고 있다”며 “우주분야 이외 대기업도 함께 참여할 수 있고 사업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고, 기업도 이에 공감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택배’로 돈 벌고 달에서 물 캐고...“목표는 달 도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개최한 달 탐사 기술 경연대회인 ‘구글 루나X프라이즈’에 유럽과
팀
을 이뤄 참가했지만 일본 측 엔지니어들이 따로 나와 세운 기업이다. 2021년까지 달에 독자 개발한 착륙선을 내려보내는 게 목표다. 일본 도쿄 외에 룩셈부르크와 미국 사무실에서 13개국 출신 100명이 이 목표를 ... ...
달에서 ‘핵융합 에너지 원료’ 매장지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리치촐리(왼쪽)과 그리말디. 평평한 지형이라 달착륙에도 적합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
팀
은 한국 달탐사선 임무 때 상세 촬영을 요청할 계획이다. 사진제공 NASA ... ...
서울·고려·부산·한양大 연합
팀
, ‘2019 로보컵’ 실내 서비스 로봇 부문 준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팀
을 이끈 이승준 부산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는 “한국
팀
이 3년 연속 우승
팀
인 일본 규수 공대를 비롯해 영국 옥스퍼드대, 미국 텍사스대 등을 큰 점수차로 제치고 준우승을 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 ...
암환자 영양·면역력 높이는 식용곤충 효능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반면 대조군의 경우 기존 영양상태를 유지하거나 개선된 환자는 57.1%에 그쳤다. 연구
팀
은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소애를 장기적으로 먹을 경우 환자의 영양상태와 면역력이 얼마나 좋아지는지 추가연구를 진행했다. 췌담도암과 간암 환자 109명 중 49명에게는 수술 후 2개월간 식사와 함께 ... ...
韓 국제물리올림피아드서 공동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배수정·정경진·최수호·윤후·임태윤 군(이상 모두 서울과학고)으로 꾸려진 한국
팀
은 모두 금메달을 차지해 2위 러시아를 제치고 중국과 함께 공동 1위를 달성했다. 러시아는 금메달 4개∙은메달 1개를 차지했고 공동 3위는 금메달3개∙은메달2개로 대만과 베트남이었다. 대표단 단장을 맡은 ...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데 호메오 단백질이 관여할 수 없다는 생각이 30년 동안 정설로 인정돼 왔다. 연구
팀
은 기존 학설과 달리 호메오 단백질이 대부분 세포막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다. 먼저 세포 배양액을 분석한 결과 호메오 단백질이 검출됐다. 인체의 호메오 단백질 160여 개를 분석한 결과 95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