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분자’ ‘원자’ 를 다루는 분자나노기계기술은 화학을 비롯해서 물리학, 생물학, 전자
공학
등 여러 학문분야가 관여한다.여기에서는 나노로봇의 중요한 부속품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아니면 그 자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분자나노기계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그 분야를 좁혀서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조명을 받고 있는 물질로 ‘아라자임’ 이란 고효율 단백질분해효소가 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과 바이오벤처인 인섹트바이오텍이 개발한 이 물질은 한순간에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무당거미를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만들었다.이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의외로 아주 간단한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11
그는 큰 화면을 만들 수 있고, 원가를 고려할 때 PDP가 최선책이라고 판단했다.서울대 전기
공학
과 동기생인 이상철 전 정통부장관은 “백 사장이 MIT박사이고, 디지털 TV라면 세계에서 두 손가락 안에 꼽히는 천재라서가 아니라, 앞을 내다보는 그의 탁월한 선견과 일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 때문에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물위를 걷는 로봇이 조만간 출현할 전망이다. 지난 9월10일 미국 카네기멜론대 나노로봇
공학
연구팀 메틴 세티 교수는 “물에 떠서 앞뒤로 걷는 로봇을 개발했다”며 “6개월 내에 좀더 복잡하고 완성된 형태의 로봇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평균 0.5인치의 몸통, 2인치 길이의 다리 8개를 가진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10
얻은 것은 턱없이 모자란 0.2g. 게다가 우라늄-235는 겨우 10%였다는 것이다.서울대 원자핵
공학
과 서균렬 교수는 “이 실험을 1년에 1백번을 한다고 가정하고 계산해보니 5만년이 걸려야 핵무기를 만들 수 있더라”면서 “너무나도 비효율적인 방법이어서 정부가 나서서 핵무기를 개발했다면 이런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하지만 당시 여건상 반도체 실험장비가 제대로 갖춰졌을 리 만무했다. 진 장관은 재료
공학
과에 가서 반도체의 재료인 웨이퍼를 만들어내고 그 표면에 에너지상태가 어떤지를 알아내는 실험을 수행했다. 유리그릇에 황산을 넣고 1천℃로 끓여야 하는 위험한 실험을 겁 없이 실행했다. 유리그릇이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10
그렇다면 도대체 보라호는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설계단계에서 보라호의 구조에 대한
공학
적 안정성이 문제였을까. 아니면 제작단계에서 복합재료의 강도가 추락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일까. 또는 플러터 발생 후 보완 단계가 부족했던 것일까.아직 보라호 추락의 정확한 원인은 베일에 싸여 있다.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10
등 전자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지능 주입형 공작기계 기계
공학
(mechanics)과 전자
공학
(electronics)의 합성어 이다아세트알데히드의 중합체 침상 또는 판상 결정이며 녹는점은 246℃(밀봉관 속에서)이다물에는 녹지 않으며 유기용매에는 녹는다아세트알데히드의 중합도는 4~6이며 80℃ 이상으로 가열하면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로봇(휴머노이드)이 탄생을 앞두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오준호 교수팀(기계
공학
과)이 개발한 ‘KHR-2’ 가 그 주인공이다. 이 로봇은 마무리 작업을 마친 뒤 오는 12월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키 1백20cm 한국의 ‘아톰’ 이 로봇의 키는 1백20cm. 몸무게는 54kg이다. 사람처럼 다리도 2개, 팔도 2개다.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10
울리는 가야금 소리를 좀더 생생히 들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란 생각이 건축가와
공학
자들을 만나게 했다.우리소리 맞는 국악당 필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통 국악당을 짓는 데는 어려움이 따랐다. 지금까지 공연장들은 대부분 서양 음악의 기준에 맞춰 지어졌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이미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