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3,70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원하는 때에 원하는 곳에서 분해 유산균 장까지 살아가는 비결
과학동아
l
200108
시간이 지나 틀을 유지하던 생분해성 고분자는 분해되고 그곳에 귀의 형태를 가진
세포
들이 자라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귀를 다시 아기에게 이식하면 정상인의 귀와 똑같이 복구할 수 있다.이와 같이 생분해성 고분자를 인공장기를 키우는 틀로 사용하면, 간, 귀, 대장, 신경체계 등 다양한 ... ...
3. 신의 결정 거부하는 성전환수술
과학동아
l
200108
여성의 음핵은 남겨진 음경의 귀뒤 껍질로 만든다. 특히 음낭과 음경의 피부에는 신경
세포
가 그대로 살아있어 성관계시 느낌을 만족스럽게 받을 수 있다. 물론 수술이 성공했을 때의 얘기다.이렇듯 남성이 여성으로 성전환한 경우 정상적 성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생식기능은 갖지 못한다. 여성이 ... ...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 잘 익은 수박 만드는 유전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108
방법을 이용해 선발표지유전자를 갖지 않는 형질전환식물을 개발하고 있다. 선별된 식물
세포
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만 특수한 화학물질로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연구실은 과일의 당도를 증진시키는 연구에서부터 선발표지유전자를 갖지 않는 형질전환식물 연구까지 식물에 ... ...
2. 성호르몬 요법 어디까지 효과보나
과학동아
l
200108
LH)은 난소에서는 배란을 유도하고 정소에서는 세정관 바깥에 위치한 라이디히(Leydig)
세포
를 자극해 세정관 내로 각종 신호물질을 보내게 한다.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은 생식소로부터의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의 합성과 분비를 조절한다. 만일 이들 성호르몬이 충분히 ... ...
어린아기 눈이 푸른 이유
과학동아
l
200108
칼슘이나 지방, 콜레스테롤과 같은 분비물의 배출이 더욱 왕성해진다. 그리고 염증
세포
들이 분비하는 물질이나 전달인자들을 공격하고 먹어치우는 일종의 탐식과정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 즉 면역반응이 더욱 진행, 반복되므로 변색이 눈에 띄게 심해질 수 있다.그렇다면 변색된 흰자위를 ... ...
마취 없이 두개골 뚫어 뇌수술
과학동아
l
200108
이 방법은 오늘날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그는 정신병이 뇌의 전두엽에 존재하는 신경
세포
사이의 시냅스 결합에 이상이 생긴 것이라 판단하고 이상부위를 수술로 절제하면 호전될 것이라 생각했다. 모니즈는 자신이 수술한 20여 결과를 묶어 ‘정신병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법’이라는 책을 1 ... ...
2. 성인 몸에서
세포
공장 찾는다
과학동아
l
200107
줄기
세포
가 분화되지 않은 채로 성장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중요하다. 원래 줄기
세포
는 몸안에서 암
세포
처럼 죽지 않는 불멸의
세포
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줄기
세포
를 몸밖으로 꺼내면 쉽게 분화되거나 죽어버린다. 분리된 줄기
세포
를 시험관 내에서 원하는 수만큼 증식시키는데 사용할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07
두고 있다.하지만 HIV에 공격받은
세포
의 유전자 반응 실험 결과 중에는 숙주
세포
인 T
세포
가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항해 싸울 수 있는 고유의 경로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것을 밝히는 연구가 우리의 미래”라고 코르베일 박사는 강조했다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07
첫 환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남성 동성연애자. 이듬해 인체의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T
세포
를 무력화시키는 바이러스가 밝혀졌다. 이른바 에이즈 바이러스. 에이즈 바이러스에도 음모론이 지난 20년 동안 몇몇 국가의 언론에 의해 꾸준히 제기돼 왔다.더스틴 호프만이 주연한 영화 ‘아웃 ... ...
1. 가물치 크기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07
유전자를 이식한 세계최초의 사례다.김교수팀은 4천여개의 미꾸라지 수정란에, 미꾸라지
세포
에서 추출한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주입해 그 중 3백개를 슈퍼미꾸라지로 키우는데 성공했다. 그가 이용한 방법은 가느다란 유리관으로 수정란에 유전자를 넣어주는 미세현미경주입법. 유전자가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