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03
몸무게를 지탱하고 움직이는 것을 편하게 돕는 것을 발견했다. 또 ‘카이로 발가락’은
처음
발견됐을 때 발가락이 없는 미라의 발에 붙어 있었다.지금까지는 기원전 300년 전 로마시대 카푸아에서 최초로 의지를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집트 가짜 발가락 유물들은 이보다 300년 정도 앞선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03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 에너지는 가속기 안에서 ‘미니 빅뱅’을 일으키며 우주가
처음
태어날 때 만들어졌던 작은 입자, 즉 쿼크 등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중 반입자로 불리는 반양성자, 반중성자, 반초입자(반람다입자)가 한데 뭉쳐 ‘반원자핵(반초삼중수소핵)’도 만들었다. 스타 연구팀은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03
자체도 어마어마한데 여기에 약 100배나 되는 원자의 수를 어떻게 하나하나 셀 수 있을까.
처음
에는 아보가드로 상수를 이용한 1kg의 정의가 현실적이지 않아 보였다. 그런데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탄소원자 대신 반도체 혁명의 주역인 규소원자를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03
거꾸로 매달려 있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현미경 발명 이후
처음
으로 연구되던 17세기에나 오늘날에나 과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파워 vs 훅의 대결1664년 영국의 의사이자 실험가인 헨리 파워는 현미경 관찰에 관한 초창기 책인 ‘실험철학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03
기술의 미래가 기대됩니다.김진유 군은 과학동아의 열혈독자다. 2010년 2월에
처음
과학동아를 본 뒤 빠져들었다고 한다. 역시 과학을 가장 좋아하며, 책 읽기도 즐긴다. 과학동아와 삼국지를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경기 광명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원을 다닌다. 작년 영재교육원에서 한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03
확보했다. 국내외에 200개가 넘는 특허를 취득하는 성과도 거뒀다. 한국이 세계에서
처음
으로 핵융합 발전소를 짓는 것이 꿈만은 아니다.그런 의미에서 미래의 무한 핵융합 경쟁을 대비하려면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권 단장은 “핵융합은 바로 청소년을 위한 과학”이라고 말한다. 그는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03
남에게 관심을 갖는 성향이 있다면 행동하기 전에 먼저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자.
처음
에는 힘들겠지만, 계속해서 자신의 속마음과 대화하다 보면 진짜 내 모습을 만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상대방에게 어디까지 관여해야 할지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03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도 힘들어 복잡한 도로에서 타기엔 알맞지 않다. 1893년 유럽에
처음
등장했지만 더 크게 유행하지 못한 이유다.이 자전거의 최대 장점은 몸을 눕히고 타는 덕분에 바람을 받는 넓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공기저항도 줄어든다. 별도의 장치 없이 사람의 힘만으로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03
않았을까.이쯤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봐야겠다. 그렇다면 손가락이 10개인 사람들은
처음
부터 10진법만 사용했을까?앞서 말했듯이 손가락이 10개이기 때문에 셈하기 쉽게 10개를 한 묶음으로 하는 10진법이 탄생했다. 이렇듯 손가락 개수가 진법에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03
종신교수가 되기 위한 심사는 매우 엄격하고 철저하다. 김 교수는 한국인 여성으로는
처음
MIT 종신교수로 임용됐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힐베르트의 23개 난제’중 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