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08
바퀴 사이에 걸렸다.당황하지 말자. 자, 앞바퀴의 회전력을 높여보자. 회전 반경이
큰
뒷바퀴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돼.침착하기만 하면 크게 문제될 것 없겠다. 하긴 이론적으로는 경사 45˚인 지면도 올라갈 정도니까. 물론 안전을 위해 경사 30˚까지만 움직이긴 하지만. 스피릿은 모래 구덩이에 바퀴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08
다리(엄밀히는 정강이와 발가락)에는 근육이 별로 없다. 사람 역시 엉덩이를 이루고 있는
큰
볼기근이 잘 발달해 달릴 때 몸이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잡아준다.말과 사람의 또 다른 공통점으로는 둘 다 땀을 흘려서 체온조절을 한다는 것. 포유류 가운데 땀을 많이 흘리는 건말과 사람뿐이다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08
수석으로 졸업한 부르스 피슬(현 하버드 의대 교수)은 수학을 뇌연구에 접목시키겠다는
큰
꿈을 품고 뇌과학으로 전공을 바꿔 대학원에 진학했다. 이처럼 파격적으로 전공 분야를 바꿀 경우엔 새 전공 분야에 적응하기가 매우 어렵다. 피슬도 예외가 아니라 대학 졸업 후 10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을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08
대형 화면에 잠시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 TV가 나온다. ‘뭐, 우리 집에 걸려있는 TV랑
큰
차이 없네…’ 하고 그냥 돌아서는 순간, 이게 웬걸? 얇아도 너무 얇다. 다시 보니 색감도 훨씬 선명해 보인다. 순간 눈에 들어온 문구. 55인치 OLED 3D TV. 나머진 다 알겠는데 OLED가 뭘까. 그러고 보니 ‘아몰레드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08
대한 내용을 배우면서 필자는 재료공학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실제 재료공학의 가장
큰
장점은 필자의 손으로 직접 다양한 형태의 소자를 만들고 그 특성을 평가하며 제조 공정과 물성을 연관 지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서울대 ... ...
따뜻한 기술
과학동아
l
201208
부분은 발명 부분이다. 작은 발상의 전환이 세상을 바꾸게 하고 발명을 한 사람에게는
큰
부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지금은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 안에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세상이다. 스마트 폰은 세상을 더 빠르게 바꿨다. 이런 무선 통신 기술은 셀이라 불리는 가상의 영역을 나누고 각 ... ...
맥가이버는 영재학교 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8
문제를 찾아내고 또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수학과 과학을 학습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2013학년도 영재학교에서는 융합이라는 단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실제로 여러 학문 분야를 아우르고 이를 이용해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 인재들에게 필요한 ... ...
PART 2. 힉스, 등장에서 관측까지
과학동아
l
201208
여기에 ‘질량을 준다’는 신화가 더해져 유독 고귀하고 특별하며 심지어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최고의 입자라는 이미지가 생겼다. 하지만 이 별명은 사실 우연히 생겼다. 물리학자 레온 레더만이 힉스 입자를 다룬 저서 제목을 ‘신의 입자’로 붙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제목은 사실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08
근원인 (못된) 입자를 찾았다”는 농담 말이다.하지만 인류는 모르는 사이에 아주
큰
일을 하나 성취했다. 이제 인류는 과거의 인류와는 다른 존재가 됐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의 근원인 우주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됐으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힉스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 ...
INTRO. 올림픽, 0.04초의 과학 - 싸움
과학동아
l
201208
위대한 평화를 구현한다.올림픽에서 어떻게 하면 더 잘 싸울 수 있을까.국민들의 기대가
큰
여섯 종목의 싸움을 과학적으로 들여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올림픽, 0.04초의 과학 - 싸움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PART 2. 수학으로 즐기는 올림픽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