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파양립성(EMC, EM Compatibility)은 두 개념을 아우르는데, 전자파가 주변에 영향을 미치지도 않고 주변전자파의 간섭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연구실에서는 회로 설계에 따라 칩 내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밝혀나가고 있다. ...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움직이든 누구에게나 그 흐름이 같다.그러나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시간 개념이 달라진다. 시간은 공간과 한데 묶여서 행동을 같이 한다. 그래서 여태까지 절대적으로 달랐던 시간과 공간을 따로 두지 않고 이들을 묶어서 4차원의 시공간으로 취급한다. 즉 시간의 성질이 공간과 ...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소광희 서울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결론이다. 소 교수는 “인간은 변화를 통해 시간의 개념을 발견했다”며 “따라서 변화를 느끼는 의식이 없다면 시간도 없다”고 단언한다. 사고로 식물인간이 됐다가 20년만에 깨어난 사람에게 물리적인 시간 20년은 증발해버린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마치 ...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시간도 공간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형목 교수는 “그렇지 않다면 뉴턴의 절대시간 개념이 필요하다”면서 “우주가 아인슈타인의 시공간이론에 따르므로 공간의 시초가 곧 시간의 시초여야 한다”고 말한다.이쯤에서 짓궂은 질문이 입안에서 맴돈다. 우주의 초기는 어떠했을까? 무엇이 우리 우주를 ...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같지 않지만, 춘분은 태양력의 개념이고 보름은 태음력의 개념이며 일요일은 인위적인 개념이기에 애초부터 정확한 해결책이 나올 수 없는 문제다. 성탄절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명절인 부활절의 날짜가 고정돼 있지 않다면 신을 뵐 면목이 없다. 아닌 게 아니라 당시 유럽에서는 지역에 따라 ...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인라인스케이트 등 최근 강세를 달리고 있는 레포츠를 제치고 새롭게 떠오른 신개념 제품. 평범을 거부하고 새로운 것을 찾는 이들을 겨냥했다. 운전자가 그저 몸을 왼쪽, 오른쪽으로 번갈아 움직이면 앞으로 전진한다. 몸을 비틀면서 만들어낸 분력의 수평 성분이 보드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지난달 독일 베를린에 있는 프라운호퍼 컴퓨터아키텍처연구소는 사람들이 조이스틱이나 마우스, 키보드 없이 단지 생각만으로 컴퓨터에서 테니스와 레이싱을 즐기는 장면을 공개했다. 이 사람들은 뇌파측정장치를 머리에 부착하고 생각만으로 모니터 속의 사람이나 물체를 움직여 게임을 했다. ...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한국 고유의 고속전철 여행문화 형성을 위한 통합디자인 개념이 적용됐다.동력차의 겉모습은 시속 2백km 이상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저항과 소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첨단 공기역학 컴퓨터 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해 설계·제작됐다. 앞의 코 부분에서부터 지붕까지 ...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걸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도 가까이 있는 단말기와 직접 정보를 주고 받는 개념이다. 앞으로는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와 무선적외선, 2.4GHz 무선랜이 휴대폰과 휴대폰, 정보기기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대표적인 블루투스(Bluetooth)는 스웨덴의 에릭슨, 미국의 IBM과 인텔, 핀란드의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측정하는 문제는 언제나 인간 중심적일 수밖에 없죠. 저는 이런 시각이 탈색된 진보 개념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진보에 대한 적응주의적 견해인데, 진보를 복잡성이나 지능 등의 증가로 보지 않고 주어진 환경에서의 성공적 적응에 기여하는 특성들이 축적되는 과정으로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