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3. 로마의 콜로세움, 왜 타원인거니?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원을 포함한 여러 가지 곡선을 연구했다는 기록이 있어요. 로저 쿡 네델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교수의 저서 ‘수학의 역사: 간단한 과정’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 수학자 메나이크모스가 처음으로 ‘원뿔 곡선’을 정의했다고 합니다. 원뿔 곡선은 원뿔을 평면으로 잘랐을 때 나올 수 있는 단면의 ... ...
- [원주율] 해피 π-데이 투유!수학동아 l2020년 03호
- 1990년대 초반 하버드대학교,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등 미국과 유럽의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학생들이 클럽을 만들고 기념 행사를 열기 시작한 것이 클럽의 시작이에요. ‘Happy birthday to you~’로 시작하는 생일 축하 노래에서 생일을 π-데이로 바꾼 노래를 부르며 기념 파티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3화.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제가 생각하는 수학자란 ‘문제를 푸는 사람’이에요. 그렇다면 문제를 푼다는 건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이번 호에선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수학자의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수학을 향한 다양한 오해 중 하나는 학교에서 배우는 복잡한 계산과 문제가 전부라는 것입니다. 사칙연산을 시 ... ...
- 알콰리즈미의 나라 K-수학으로 하나 되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이벤트를 운영했죠. 현지 도우미도 직접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사전에 현지 교사와 대학생 도우미들에게 설명서와 동영상 자료를 전달해 미리 학습하게 했습니다. 그 덕분에 더 많은 인원이 체험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 각 부스에는 체험할 내용을 영어와 우즈벡어, 러시아어로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제일 차가운 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가장 낮은 온도인 절대 영도(0K, -273.15℃)보다 불과 0.0016K 높았지요. 미국 랭커스터대학교 드미트리 즈미브 연구원은 레고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희석냉동기를 이용했어요. 물체의 온도를 낮추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극저온의 액체에 담그는 거예요.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최저온도는 헬륨이 ...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와 이시야마 신페이 박사팀은 간지럼에 대한 쥐의 뇌 반응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쥐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며 촉각과 관련된 뇌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리잡은 나무 ‘다후리안 낙엽송’도 전성기를 맞았어요.2019년 5월 13일, 중국 선양농업대학교 연구팀이 이 나무의 성장세가 최근 들어 남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거예요. 2005년부터 2014년 사이, 10년 동안 이 나무는 이전 40년 동안보다 더 많이 자랐답니다.연구팀은 그 원인을 땅속에서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삼각형에 색깔로 나타내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한 남주한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에게 물어봤습니다. AI, 감히 나를 평가해? ☞ 바로가기 (104p) 한 달 뒤면 과학동아에 입사한 지 만 1년이 되는 이영애 기자가 다시 취준생의 마음가짐으로 입사 면접을 봤습니다. 요즘 웬만한 기업에서는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더 빨라지는 시점에서 유행을 쫓는 것은 지양해야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그는 약 15년 전 대학 새내기 시절 전공 책에서 수소자동차를 보고 매료됐다. 당시엔 우주선처럼 묘사된 수소자동차가 기름 한 방울 없이 달릴 수 있고, 부산물로 물이 나와 환경에 무해하다는 점이 멋지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 ...
- [수학뉴스]인어공주 조개가 입을 꾹 다문 사연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인어공주는 항상 구불구불한 모양의 예쁜 조개 위에서 노래를 불렀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공동연구팀은 인어공주 조개로 알려진 ‘쌍각연체동물’의 껍질이 완벽하게 맞물릴 수 있는 이유는 껍질의 성장 속도 차이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