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도"(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과학동아 l1991년 11호
- 첨단사진기술의 부산물로 탄생한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과학의 힘을 빌려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 새로운 문화매체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마치 실제의 입체 조각품이 허공에 떠다니는 듯하다. 살아있는 사람이 유리 속에서 양팔을 벌려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웃음을 지어 보이는 일이 우리의 눈앞 ...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과학동아 l1991년 11호
- 정부지원이라는 온실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준비하고 있는 KAIST인들의 복안은 무엇인가?무르익은 가을햇살이 한껏 쏟아지던 지난 10월의 두번째 토요일(12일), 대덕연구단지안의 한국과학기술원 (이하 KAIST) 캠퍼스에서는 조촐하지만 뜻깊은 잔치가 열렸다. 올해는 KAIST가 한국과학원(KAIS)이란 이 ...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과학동아 l1991년 10호
- 현재 인쇄출판계에 쓰이는 서체들은 대부분 60년대 국내에서 개발돼 일본에 팔려간 것들인데, 이것이 일제 사식기에 내장돼 국내로 역수입되고 있다.과거 많은 학자들은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든 업무가 자동화되고, 결국에는 종이없는 사무실(paperless office)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
- 5 「통신사각지대」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95년 4월 국내 최초의 자체위성인 무궁화호(KOREASAT)가 동경 1백16도 적도 상공 3만6천㎞ 정지궤도상에서 전북 무주 부근을 향해 전파를 날리기 시작한다.1995년. 앞으로 4년 후면 우리나라도 자체 인공위성을 가진 나라가 된다. 인공위성을 보유한다는 것은 단순히 4천억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들여 우주 ...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두벌식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앞으로 기계식 타자기는 없어질 것이며 컴퓨터가 알아서 첫소리 가운뎃소리 끝소리를 구별해 줄 것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럴까?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라는 것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는 지난해 부터 문맹없애기 운동가에게 주는 상 ...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영상정보를 전달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디스플레이 기술. 대형화되면서 해상도를 높이는 비법은?정보표시장치(information display)는 전기적인 신호를 시각영상으로 변환시켜 인간이 직접 정보를 해독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다. 우리가 늘상 보고 있는 TV브라운관, 컴퓨터 화면, 자동차 계기판, 전 ...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과학동아 l1991년 10호
- 26개의 뼈로 구성돼 우리 몸을 지탱해 주며 걷거나 뛸 때는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해 주는 발. 이를 소중히 여기질 않아 '발병'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발바닥 인생'이란 말이 있듯이 발은 우리 몸의 제일 밑바닥에서 누구든지 싫어하는 그야말로 발바닥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누구도 발 없이 ...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87년 KS한글코드가 제정될 당시 조합형 여론이 우세했다. 그런데 국제표준규격과의 통일을 내세운 통신론자들에 의해 2바이트 완성형으로 확정됐다. 그로부터 한글코드논쟁은 끊이지 않았는데…4년마다 한번씩 온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드는 월드컵 축구의 열기는 우리나라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대 ...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과학동아 l1991년 10호
- 과학용어의 정리는 한시가 급한 일이다. 우리말로 된 용어들, 알아듣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들이야말로 많은 사람들을 과학에로 이끌 수 있는 가장 쉬운 통로이기 때문이다.과학용어는 과학의 개념을 전달하는데 기본이 되는 요소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고 오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는 용어사용 ...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과학동아 l1991년 09호
- 현존 세계 최고빌딩은 시어즈타워(4백43m). 10년이내에 5백m벽이 뚫리며, 2050년에 백두산을 내려다볼 4천m급 수직도시가 구상되고 있다.'고층건물' 혹은 '초고층건물'이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는 시대적 사회적 여건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