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만
해산 해산의
d라이브러리
"
산과의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한여름에는 자외선의 광도가 점점 세진다. 일명 화학선이라 불리는 자외선은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인간을 포함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태양빛에 노출되어, 그 생리대사와 병리현상이 태양빛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이미 고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지각은 깊이 침강하여 용암의 플룸에서 솟아오르며,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기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어 두드러진 진전을 보였다.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지구물리학자들은 지난 수개월을 거치면서 해저를 구성하는 거대한 ... ...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과격한 운동보다는 일상생활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는 쪽이 건강으로 가는 첩경. 건강 유지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생각되는 스포츠. 그러나 최근 일본에서는 스포츠가 몸에 나쁘다는 주장이 한 학자에 의해 제기돼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노화 메커니즘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도쿄대 이학부의 가토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독특한 눈, 가벼우면서 힘이 좋은 날개, 육식성 먹이만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는 강한 턱을 가진 잠자리의 생태를 자세히 알아보자.약 4억년 전 스코틀랜드의 고생대 데본기 상부 지층에서 발견된 톡토기의 일종(Rhyniella praecursor)이 곤충화석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곤충의 기원은 좀더 빠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포함해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물리적으로 보면 에너지 변환과정에 불과하다.우리는 보통 사무실에서 사무를 보거나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는 것도 일을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물리적개념으로는 '일'이 아니다.물리적인 일은 힘이 작용해야 하고 그 힘으로 ... ...
(2) 첨단과학에 이용되는 인공보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인공보석은 재료개발 과정에서 얻어진 소재의 단결정이 아름답기 때문에 보석이란 이름이 붙은 것이다. 따라서 인공보석은 보석이라기보다는 소재의 하나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오늘날 인공보석은 하이테크 소재의 하나로 많은 공업분야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재료로 자리잡고 있다. 인 ... ...
여러가지 아이스크림 만들기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얇은 얼음이 사각사각 씹히는 스노 아이스크림, 스푼으로 맘 내키는 대로 퍼먹는 샤베트, 부드럽고 달콤한 아이스크림은 서로 어떻게 다를까요?여름을 나의 것으로! 산과 바다로, 강과 계곡으로 더위를 피하는 것도 좋겠죠. 하지만 그 전에 집에서 내힘으로 더위를 사로잡고 싶지 않으세요? 가족들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오는 26일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에로스에 망원경의 초점을 맞춰보고 중순부터 시작되는 물병자리 별똥별의 장관을 감상해보자.장마가 시작되는 7월은 덥고 습도가 높아 짜증나는 계절이다. 그래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는 가장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달이기도 하다.그러나 아무리 장마철이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배설은 소화나 호흡 못지 않게 중요한 신체의 기능이다. 콩팥의 다양한 기능을 중심으로 배설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인간의 신장(콩팥)은 두개로 강낭콩 모양의 기관인데 크기는 주먹만하다. 이들은 등쪽 척추 양쪽 체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신장의 상부에는 간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왼쪽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서울대공원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백두산호랑이 한 쌍을 들여올 계획인데, 중국쪽 백두산에서 잡은 것이거나 그 후예라면 우리 국토의 최근 거리에서 얻은 개체란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이다. 호랑이는 생존지역 접경을 넘나들며 살기 때문이다.약4천3백만년 전(제3기 시신세)에 번영해 있던 미아키스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