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국외 출장을 가는 사람에게“지금 쓰고 있는 휴대전화 그대로 들고 가세요”라고 말하는 TV CF가 최근 방영되고 있다. 해외에서도 자신의 휴대전화와 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국제 자동로밍 서비스 덕분이다. 로밍 서비스의 종류와 원리를 알아보자.지난 6월 초 취재를 위해 개인휴대통신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통건축의 기초가 되는 기단과 초석은 단순해 보이는 외양과는 달리 다양한 건축학적 기능을 띠고 있다. 기둥과 벽면으로 이뤄진 몸통을 받칠뿐 아니라 건축물에 미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한다. 자연과 가장 가깝다는 전통가옥에 숨어 있는 조상의 슬기를 알아보자. 한국의 건축은 흔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혈관 속을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의 초소형 기기를 만들려면 어떤 소재가 필요할까. 답은 나노소재다. 현재 나노소재는 하드디스크 헤드와 자외선 차단제에 응용되고 있다.1980년대 후반에 등장한 초기 휴대폰은 오늘날 사람들의 눈에 마치 골동품처럼 비친다. 한때 유행했던 시트콤에는 들기에도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지난 1971년 무령왕릉에서 시꺼먼 널판자가 출토됐다. 무령왕과 왕비의 관을 이루고 있던 나무다. 11조각의 판자는 발굴 당시 별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이 나무판자에는 고대 한·일간의 관계를 밝혀줄 과학적 증거가 숨어 있다. 나무판은 일본에서만 자라는 신비의 나무로 이뤄졌다는데…. 역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기술이 벤처투자업계에서 새로운 투자 유망 분야로 등극하고 있다. 2-3년 내에 나노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나노기술의 상업화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새로운 금광은 나노기술에서 찾아라."최근 세계적인 벤처투자업계에서 해 저무는 정보통신기술을 대신할 투자 유망 분야로 나노기술이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저 밝은 별은 뭘까. 밤하늘에 관심없는 사람도 도심 속에서 꿋꿋하게 빛나는 밝은 별을 만나면 품는 의문이다. 요즘 서쪽하늘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빛나는 별이 바로 미의 여신 금성이다. 대낮에도 보이는 금성을 찾아보자. 비가 내리고 점차 구름이 걷히면서 하늘이 개면, 저물어가는 노을 뒤편으 ... ...
홈어드밴티지의 플러스알파 붉은 악마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최근 홈어드밴티지에 대한 또다른 일면이 밝혀졌다. 홈 관중에 주눅든 심판이 홈팀 선수의 파울을 15% 눈감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 ‘붉은 악마’의 응원이 홈어드밴티지의 플러스알파인 셈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우리 모두가 붉은 악마가 되자.지난 1998년 프랑스월드컵 한국 대 네덜란드 전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최근 탄탄한 SF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애니메이션‘공각 기동대’가 국내에 개봉됐다. 공각기동대는 이후 등장한 수많은 사이버펑크 영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 한 작품인 영화‘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의 면면을 살펴보자. 얼마 전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가 ... ...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inter ISEF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해마다 5월이면 전세계 미래 과학자들이 모여 축제의 경연장을 벌인다. 모두 1천2백여명의 학생들이 한해 동안 연구하고 준비한 저마다의 작품을 소개하고 열띤 경쟁을 벌이는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Intel ISEF)가 그것. 올해로 53번째를 맞는 이 대회를 찾아 과학교육의 미래를 점검해봤다. 5월 17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7백50년 전 몽골군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은 자랑스런 문화유산 중 하나다. 나무판에 불경을 새긴 경판만 8만여장이 넘고, 새겨진 글자는 무려 5천2백만자이며 제작에 동원된 사람은 1백30만명이나 된다. 하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선조들의 비법에 있다. 역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