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바람은 행성 전체에 열을 분배해 밤낮의 온도차를
줄
여
줄
것이다.뜨거운 목성은 중심별에 가깝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매우 높다. 질량이 목성보다 작은 행성은 중심별에서 오는 강렬한 열과 내부 열로 인한 팽창 압력을 자체 중력으로 저항하기 어렵기 때문에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천연식품에 대한 과도한 집착 피해야식품은 우리의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화학적으로 합성한 식품을 반가워하지 않는 것도 식품에 대한 우리의 인식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소비하는 설탕, 커피, 초콜릿과 같은 ... ...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남자친구가 자기 엄마에게로 도망가 버려서 아이를 낳아도 비누나 음식조차 가져다
줄
사람이 없는 현실을 가장 우려했어요. 다른 여성은 더 이상 걷거나 집안일을 할 수 없게 될까봐 걱정했죠. 또 다른 여성은 병원비를 걱정했어요. 남편들도 비슷해요. “아내가 언제 낳을지, 어디서 낳을지, 수술을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대식세포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혈액을 응고시키고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이산화질소를 분비한다.● 실제 가장 많은 사망자가 과다출혈로 인한 저혈압 및 쇼크사로 사망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탈수증상으로 사망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좋은 일로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음악 연주에서 벤처기업까지 다양한 재능만
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40)는 장난감 ‘루빅큐브’에서 영감을 받아 18세기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의 연산법칙 연구를 확장한 공로로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인도계인 그는 인도의 전통 타악기인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알아내기 위해 확률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항공기를 타기 위해 긴
줄
을 섰을 때, 내가 100번째 있다면 몇 분 안에 항공기에 타게 될지를 계산하는 것도 그의 연구 분야다. 이 문제의 답은 $\sqrt{사람의 수×2}$ 라고 이미 밝혀져 있다.그는 확률 문제 중에서도 적분 가능한 확률과,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자신이 아는 수학자를 말해 보라고 하면 보통 가우스나 페르마처럼 만날 수 없는 역사 속 수학자들만 떠오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훌륭한 수학자들이 많이 있다. 필즈상 수 ...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도움이 된답니다. 글쓰기 연습이 수학 연구에 도움이 될
줄
누가 알았겠어요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주문했다.“전 더 이상 아무 생각도 안 떠오릅니다. 데슬레이터 가 무슨 파리 모기인
줄
압니까. 3개월 안에 때려잡으 라니요.” 연민영 박사가 시큰둥하게 말했다. “파리나 모 기? 아 그래. 정말 그러면 되겠네. 인류에게는 아직 희 망이 있어.” 김전우 박사의 입가에 작은 미소가 띠었다.1만 마리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날인 8월 21 일 폐막식 직전 피날레를 장식할 특별 초 청강연에서 어떤 이야기를 들려
줄
지 많은 수학자들이 기대를 걸고 있다. 일반인도 참석 가능하다. 올 여름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 대한 특별한 기회가 주어진다. 바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청소년 홍보대사! 오직 수학동아를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보이죠. 그런데 이 고리는 맨눈으로는 볼 수 없어서 망원경이 발명될 때까지는 있는
줄
도 몰랐답니다. ⇡1675년에 프랑스 천문학자 장 카시니가 토성의 고리 속에서 빈틈을 발견해 토성의 고리가 두 개로 나눠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틈을 ‘카시니 간극’이라고 부른다. 토성의 고리는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