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운명을 좌지우지 한다. 덮어 놓고 지나갈 수가 없다는 말이다. 아직 나를 포함한 많은 과
학자
들이 암흑에너지의 존재와 실체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천문학 최대의 이슈인 것만은 분명하다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에나멜질을 제대로 만들지못한 치아로 평생을 살게 됩니다. 인류
학자
들이 조사를 해보니, 농경을 시작한 집단의 치아에서 에나멜질형성부전이 눈에 띄게 늘어났습니다. 몸의 크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팔뼈나 다리뼈의 길이를 재봤더니, 농경을 시작한 집단에서 오히려 더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가둔 것이다. 플라스마 창은 1995년 미국 브룩헤이븐 연구소의 물리
학자
애디허쉬코비치가 최초로 발명했다. 허쉬코비치 박사는 플라스마 창을 실험에 쓰는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용도로 사용했다. 만약 훨씬 더 높은 온도의 강력한 플라스마 창을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벽돌과 사암으로 만들었다. 앙코르 와트는 1861년 정글을 탐험하러 들어갔던 프랑스 박물
학자
에 의해 알려졌다. 주변에 있는 12~13세기 사원과 함께 크메르 시대 유적군을 형성하고 있다. 시엠립시내에서 12km 쯤 떨어진 곳에서 시작되는 앙코르 유적 건물들은 커다란 나무와 숲에 가려져 있다가 예상치 ... ...
진짜 ‘고온’ 초전도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절대온도에 가까운 환경을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
학자
들은 늘 절대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을 구현하는 것을 원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온 초전도 현상’이라고 부르는 것도 절대온도보다 겨우 30℃ 정도 높은 영하 243℃에 불과했다. 최고 기록도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더구나 은하 구조를 설명하는 데엔 약점이 있다. 물론 아직 초대칭 이론을 연구하는
학자
가 많으므로 또다른 타개책을 찾을 수도 있다. 액시온은 답보 상태다. 비활성 중성미자는 이제 시작하는 느낌이다.연구는 춘추전국시대에 접어들었다. 윔프는 과거의 영광을 유지하고 초대칭 이론이라는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되려는 경향이다. 금속의 반응성 차이를 이용한 세계 최초의 전지는 이탈리아의 물리
학자
볼타가 발명한 볼타전지다. 아연판과 구리판을 두 극으로 사용한 가장 간단한 전지다. 구리판과 아연판을 묽은 황산 용액에 담그고 구리판과 아연판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구리에 비해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고갈되면 만성피로가 된다는 설명이다. 흔히 ‘스트레스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생리
학자
한스 셀리에 박사도 만성피로를 이렇게 정의했다.]스스로가 엔진이자 연료가 된 피로사회9월 17일 월요일 오후 11시. 사무실.믹스 커피 한 잔을 탔다. 오늘 세 잔째. 이제는 카페인의 힘을 조금 빌어볼 때다.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여러분들이 우리들의 해묵은 수수께끼를 좀 풀어주세요.” 짧은 기간이었지만 고생물
학자
들이 머리를 싸매고 있는 숙제 하나를 떠안았다. 공룡이 살아 있는 캐나다가 안겨 준 선물이었다.[공룡주립공원에서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후두스’다. 낙타 모양처럼 생겨 관광객들의 눈길을 ... ...
생활 속 유해 화학물질 “직접 먹고 몸에 발랐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화학물질과 환경 이야기니 당연하겠죠.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보통 사람들이 과
학자
가 되지 않고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그걸 ‘번역’했습니다.”실험은 이런 ‘번역’을 위해 루리에 회장이 택한 방법이었다. 그런데 스스로 화학물질에 노출하는 실험이라니, 위험하거나 두렵지는 않았을까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