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뉴스
"
정밀
"(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은 매우
정밀
한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개발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해 먼저 다공성 양극 산화알루미늄막을 만들었다. 20~200n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촘촘하게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위해서는 생산 공정의 혁신이 꼭 필요하다. 대규모
정밀
공정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정밀
생산공정은 상품의 질과 직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바이오의료융합기술 산업화의 핵심 요소다. 1959년 서울 출생으로 고등학교 3학년 때 미국으로 이민 갔다. UC버클리 생물물리학학과를 ... ...
쇼핑몰 안에서 헤매지 마세요~ 실내 내비게이션이 있잖아요
2014.10.15
측은 무선인터넷의 신호 강도를 측정해 현재 위치를
정밀
하게 계산하는 기능을 추가해
정밀
도를 높였다. 오차범위는 5m 정도다. 또 사용자가 직접 관심지점(POI)을 입력해 길을 찾아가는 기능을 추가했다. ETRI는 20일 부산에서 열리는 ITU 전권회의에서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 뒤 곧바로 상용화를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
2014.10.03
데 성공했다. 모형 비행기라고는 하지만 실제 경비행기인 ‘피츠(Pitts)’를 3분의 1로
정밀
축소해 성능에서는 일반 항공기와 차이가 없다. 활주로를 떠난 조종사 로봇은 먼저 비행기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현재 비행기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 정보를 파악한다. 또 각종 ... ...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크레스지’, ‘게일런 스터키’ 같은 과학자들이 꼽힌다. 신소재와 고분자를
정밀
하게 합성하는 방법을 연구한 ‘그레엄 모드’, ‘에지오 리자도’, ‘샌 탕’ 등이 이 영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생리의학 분야에서는 통증을 느끼는 통증을 느끼는 메커니즘을 규명한 ... ...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도 성공했다. 결국 강력한 자기장을 유지하면서도 실험의 안정성과
정밀
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방사선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연 양자빔 기반 방사선연구센터 정영욱 부센터장은 “이 기술은 포항에 설치되는 4세대 방사광 가속기에도 적용할 수 ... ...
수영 못하는 도마뱀, 인간들 배 타고 바다 건넜다
2014.09.28
데이터를 분석해서 이러한 사실을 얻어냈다. GPS와 위성이 주고받는 위치정보의 변화를
정밀
하게 측정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표면의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미국 서부지역은 지진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연간 수천 회의 지진이 발생한다. 최근에도 샌프란시스코에 규모 6.0의 지진이 ... ...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설치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 설치돼 있는 감시장치와 이중으로 운영하면 한층 더
정밀
한 우주감시가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23일 몽골 과학원 산하 천문 및 지구물리연구소와 공동으로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시스템(OWL)’ 몽골 관측소 개소식을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예의 주시하며 충돌 확률을 주기적으로 계산한다. 둘째 날부터는 미국, 독일 등에 더
정밀
한 우주쓰레기 궤도 정보를 요청해 충돌 확률의 오차를 줄이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렇게 해도 충돌 확률이 낮아지지 않으면 관제센터는 위성을 회피기동 시킬 명령을 내리고 본격적으로 위성의 궤도를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
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생명공학을 비롯해 광학 측정과 제어가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서 핵심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