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62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가려 없어진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이 개발 중인 ‘별 가리개’의 모습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진은 외계에서 지구와 크기나 기온이 비슷한 ‘제2의 지구’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새로운 우주비행체를 개발해 시제품 제작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2009년 발사된 ... ...
우주론 연구는 '노벨상 노다지'
과학동아
l
2014.03.21
조지 스무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와 존 매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 고다드센터 박사는 우주배경복사가 복사선을 완전히 흡수하는 흑체(Black body)가 방출하는 ‘흑체복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균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됐다. 미국 ... ...
집단지성으로 달 연구 정확성 높인다
과학동아
l
2014.03.19
1000여 명을 모집해 ‘집단 검색’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이 2009년 쏘아올린 달 정찰 궤도탐사선 LRO가 촬영해 보내온 이미지를 인터넷에 올린 뒤, 달 전문가 8명과 일반인 참가자 1000여 명에게 크레이터 개수를 파악하도록 했다. 그 결과, 지름이 11m보다 커 비교적 ... ...
2012년 인류 종말 올 뻔 했다고?
과학동아
l
2014.03.19
장면. 입자와 충격파의 이동속도가 초속 2000km에 이르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
NASA
/STEREO 제공 영화 ‘노잉(2009)’에서 인류 문명은 지구를 덮친 초대형 태양폭풍에 의해 종말을 맞이한다. 지난 2012년 7월 23일, 인류가 사는 지구는 이 같은 ‘천문학적’ 재난을 운 좋게 빗겨간 것으로 밝혀졌다. ... ...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 금빛 가루가 반짝반짝
동아닷컴
l
2014.03.13
동아닷컴]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 미국항공우주국(
NASA
)는 최근 사진 공유 사이트를 통해 ‘검은 구슬 지구’라는 제목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에는 우리나라는 물론 서아시아와 인도 중국 등 아시아 전 지역의 야경 모습이 담겨있다. 마치 금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반짝 거려 눈길을 끌었다. ... ...
국내 연구진, ‘월면섬광’ 현상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NASA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달의 대기성분을 밝혀낼 수 있는 천체 현상을 찾아냈다. 달과 운석이 충돌할 때 부싯돌 두 개를 맞부딪쳤을 때 불꽃이 튀는 것처럼 빛나는 현상을 촬영했다. 김용하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교수팀은 운석이 달과 충돌하는 ‘월면섬광’을 촬영했다고 2월 8일 발표했다. ... ...
나사 우주사진 공개…‘우주유영은 칼로리 소모가 얼마나 될까?’
동아닷컴
l
2014.03.05
동아닷컴] 미 항공우주국 나사(
NASA
)가 임무 수행 중인 우주인과 푸른 별 지구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해 누리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나사는 최근 영화 ‘그래비티’ 속 한 장면처럼 허블 우주망원경을 수리 중인 실제 우주인의 모습을 포함해 10여 장의 사진을 SNS에 공개했다. 영화 ... ...
우리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인데 1100광년서 초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발견됐다는 데 있다. 이 같은 사실을 보고받은
NASA
는 스위프트위성의 자외선/가시광 망원경을 이용해 초신성을 다시 확인했다. 문제는 국내 언론들이 이 초신성이 1100광년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됐다고 오역하면서 생겼다. 이 때문에 일부 네티즌들은 ‘이번 ... ...
남극에서 찾은 운석, 화석 박테리아의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양옆으로 박테리아와 암석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미세균열'을 다량 발견할 수 있다. -
NASA
제공 남극에 떨어진 운석에서 화성 생명체 존재 증거가 발견돼 화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존슨우주센터 로렌 화이트 박사팀은 5만 년 전 남극에 떨어진 ‘야마토 00693’ 운석을 분석한 결과 ... ...
게임광 소년, 게임으로 KAIST 박사 됐다
동아일보
l
2014.02.21
동아일보] 박태우씨 생활접목 게임에 논문도… 6월부터는
NASA
연구원으로 21일 열리는 KAIST 학위수여식에서 게임 개발로 전산학 박사학위를 받는 박태우 씨(32·사진)의 고교시절 별명은 ‘게임광’이었다. 평일엔 3시간, 휴일엔 하루 종일 게임에 빠져 살았다. 재수 끝에 KAIST에 입학했지만 게임은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