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8,32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12
본다. 먼저 로봇이 생활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지금의 컴퓨터처럼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부분에서 로봇이 활용될 것이다. 인간의 가장 좋은 파트너는 이제 로봇이다.손정훈 _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생명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맞춤형 유전자 등 의료기술 ... ...
[한의학은 과학인가?]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12
있다는 것. 사실 약물의 부작용은 동서양 의학의 구분이 없다. 이 교수는 “원론적으로
모든
약이 독이 될 수 있다”며 “최근 비만치료제의 경우처럼 대규모 임상을 마치고 시장에 나온 신약이 수년뒤 예상치 못한 부작용으로 철수하는 사례가 드물지 않다”고 덧붙였다.수년 전부터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12
특히 곡선 도로를 고속으로 빠져나오는데 가장 안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모든
F1 팀들은 이 날개를 기본적으로 탑재했다.하지만 거부당하는 장치도 있다. 1978년에 등장한 프로펠러다. 뒷부분 하단에 장착된 프로펠러는 머신이 고속으로 달리면 프로펠러가 함께 동작했다. 일반적으로 머신이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12
사람의 DNA를 구성하는 염기쌍의 수는 약 30억 개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 몸의
모든
세포에는 같은 양의 DNA가 들어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세포는 사멸하기까지 약 50회 정도 세포 분열을 한다. 각 분열 과정에서 DNA가 복제되는 동안의 오차 비율은 세포 내부의 다양한 기작을 통해 109분의 1 ... ...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우리를 지켜 준다는 걸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단다.‘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답게
모든
재난을 안전하게 탈출하는 데 성공했어. 그런데 갑자기 궁금한 거 있지? 도대체 무섭고 힘든 재난을 왜 미리 체험해야 하는 걸까? 보라매안전체험관의 전세중 관장님을 만나 직접 여쭤 보았어.“재난이 닥쳤을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12
생명을 잃은 충격에 NASA는 한동안
모든
우주수송시스템(STS)을 중단했다. 하지만 이대로
모든
것을 그만 둘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 나는 우주를 향한 사람들의 꿈을 이뤄주고 싶었다. 다시 그 꿈을 이루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챌린저호 이후 미션이 재개된 것은 975일 뒤, 콜롬비아호는 907일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12
아이인지를 아는 걸까. 산타할아버지는 어떻게 크리스마스 이브 하룻밤 만에 세계의
모든
착한 아이들에게 선물을 전해줄 수 있을까. 어떻게 그 많은 선물을 만들어내고 또 썰매에 싣고 다닐 수 있을까. 우리 집엔 굴뚝도 없는데 어떻게 산타할아버지는 선물을 주고 가시는 걸까.아이들이 이런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12
국산 운영체제를 만들고 싶어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같은 운영체제요. 지금은 거의
모든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윈도가 독식하고 있잖아요. 우리나라도 그런 운영체제를 만들어서 좀 더 강해지면 좋을 것 같아요.” 윈도에 대항할 만한 토종 운영체제를 만들겠다는 야무진 꿈을 내비치는 L학생. ... ...
바둑돌 채우기
과학동아
l
201012
검은돌을 네모 칸에 가득차게 채워보세요. • 흰돌과 검은돌의 숫자는 같아야 합니다. •
모든
흰돌과 검은돌은 끊어지는 곳 없이 이어져야 합니다. • 흰돌끼리 또는 검은돌끼리 2*2 칸에 모두 들어가서 사각형 모양으로 4개가 이어져서는 안 됩니다. A 이달의 퍼즐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12
때문이다. 양현승 교수는 새와 비행기를 예로 들었다. 하늘을 나는 속도, 수송능력 등
모든
면에서 비행기가 위다. 하지만 새에게는 비행기가 따라잡을 수 없는 자유로움이 있다. 인공지능이 결국 인간보다 우수해질 날이 오겠지만 인간과 완전히 똑같은 능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컴퓨터의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