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3
있어요. 영국 왕과 왕비, 성자들이 아기 예수를 안은 성모 마리아와 천사들을 맞이하는
모습
이네요.이 가운데 성모와 천사를 표현한 오른쪽 그림을 봐 주세요. 우리가 찾던 선명한 파란 옷을 볼 수 있지요? 성모와 천사들이 입고 있는 옷의 독특한 파란색은 ‘울트라마린’이라고 하는 가루의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3
그 덕분에 커다란 이빨로 우리를 위협하는 스밀로돈도 거뜬히 물리친다니까! 이런 내
모습
을 본 여자들은 나에게 한눈에 반하고 말지. 헤헷, 너무 내 자랑만 했나? 그런데 인기남인 내가 2010년 대한민국에 오면서 일이 꼬이기 시작했어. 모두들 키 큰 사람이 멋지다고 말하면서 날 ‘루저(패배자 ... ...
Part 2. 정신없다, 새학기 준비! 나란히~ 나란히~ 키 번호 정하기
수학동아
l
201003
.그래프가 대칭이야!휴우~, 이제야 드디어 순서대로 줄을 섰구나. 이렇게 나란히 서 있는
모습
을 보니 반 친구들의 키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번호가 뒤로 갈수록 키가 커지니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되겠지. 그런데 가로축을 번호가 아닌 키로 바꾸면 그래프의 모양이 이렇게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찰스와 시계공장
수학동아
l
201003
외친다.“나도형! 당장 안 나와? 빨리 나와.”“푸하하! 아저씨가 놀라서 뛰어가는
모습
은 진짜 최고였어요. 아이고~, 배야. 까르르~.”“나한테 뛰어와서는 막 횡설수설 하시는데…. 그 표정 잊지 못할 것 같아요.”두 아이의 장난에 감쪽같이 속은 허풍은 입이 이만큼 나와 있다.“어른을 놀리면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03
감각 정보들을 종합해 일관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즉 고무손이 자극되는
모습
을 봤는데, 그에 상응하는 촉감을 실제 손에서 느끼면 뇌는 모순되는 두 감각을 합쳐서 ‘고무손에서 촉감이 느껴진다’는 엉뚱한 결론을 내리고 여기서 리얼리티를 느낀다는 얘기다. 고무손 착각 실험을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03
누렇고 또 붉은 화산암의 무리는 그렇게 인간이었다가 또 동물이었다가 다시 식물의
모습
으로 변하며 안데스의 오늘을 말없이 대변하고 있다.소금사막 아래 묻힌 리튬, ‘신의 선물’ 될까 광활한 소금사막 전체에서 인간의 손이 닿은 인공물은 ‘소금호텔’이 유일하다. 벽과 기둥은 물론 내부의 ... ...
뱀장어에 고등어 꼬리 붙이면
과학동아
l
201003
물고기가 헤엄칠 때 주변에 발생하는 와류(渦流)를 분석해 이들 물고기들이 지금과 같은
모습
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헤엄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현재와 같은 형태로 물고기의 체형과 수영법이 결정된 것은 유속환경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이 결과는 국제학술지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걷고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한다. 지구 표면에 그치지 않는다. 구글은 달과 화성의
모습
을 담은 우주 지도와 심층 해저세계를 담은 해양 지도까지 제공한다. 아마 21세기형 키트가 재현된다면 화성으로 붙잡혀간 주인공을 구출하러 로켓으로 변신한다는 이야기로 전개되지 않을까.그런데 이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03
방법을 썼대요(역시 암컷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음). 연구팀은 과일파리들이 싸우는
모습
을 관찰하기 위해 한 마리의 암컷을 두고 두 마리의 수컷을 경쟁하도록 만들거나 그 반대의 상황을 만들었어요.과학자들이라 과일파리 열 받게 만드는 방법도 잘 알아요. 수컷 과일파일에는 ‘프루틀리스(fruitless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03
이는 그동안 생물학자들이 염원하던 기술이다.간섭현미경으로 연구단은 적혈구가 떠는
모습
을 잡아냈다. 1초에 100번 이상 찍을 수 있는 촬영속도 덕분이다. 김 교수는“간섭현미경은 현재 파장의 1000분의 1 수준의 위상 분해능을 얻을 수 있어 시료의 미세한 변화를 고속으로 얻을 수 있다”고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