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3,22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제품고르기 전 반드시 A/S·매뉴얼 확인
과학동아
l
199506
혁신이 있어야 한다. 그것의 요체는 신속한 A/S와 무상 교환 시스템이다. 제품의 기능
소개
와 실제의 기능이 다르다면 신속하게 교환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 업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쌓이며 끊임없는 버전업을 믿게 될 것이다.보다 장기적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이 다양한 교육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
과학동아
l
199506
목성충돌사건 전용 웹 페이지까지 있었다. 지금도 그 주소가 인터네트 관련 책들에는
소개
가 되고 있지만, 지금은 유행이 지나서 그곳에 접속하면 다른 곳으로 치웠으니 정 보고 싶으면 다시 한 번 클릭하라고 하면서 다른 곳으로 자동 안내한다.'Comet Shoemaker-Levy Collision with Jupiter'라는 제목의 ... ...
암연구의 메카 미국 국립암연구소
과학동아
l
199506
Medicine Branch)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 기간에 경험한 NCI의 연구활동에 대해 간략히
소개
하고자 한다.연간 예산 20억 달러에 달해NCI의 역사는 루즈벨트 대통령 재임 중인 1937년 암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립암연구소법(National Cancer Institute Act)을 제정하면서 시작됐다. 그후 1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506
관한 딜레마는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는 것일까?물론 그동안 여러 해결책들이 학계에
소개
되었다. 이들 중 가장 유명한 처방은 우주내 물질의 총량이 지금 우리가 측정한 값보다 훨씬 높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물질의 응축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중력의 속성상 물질이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
과학동아
l
199505
보이며 주변은 희미하게 나타난다. 과학동아 2월호에 허블망원경에서 찍은 사진이
소개
되었다.(Coma) M104:나선은하. 8등급. '솜브레로은하'라고 불리며 아마추어용 망원경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은하의 중심부가 매우 발달돼 있으며 중심을 가로 지르는 먼지성운이 측면에서 보이는 은하이다.(Vir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05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그려본다. PC통신에는 그 진행상황과 관측결과가 '한글 윈도우'로
소개
될 것이고 외국인들에게도 '명예 승무원증'이 주어진다. 이 장면이 가상현실 아닌 실제상황으로 생중계될 때 우리는 저마다 가슴속에 뿌듯한 한국인의 긍지를 느낄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 ...
한양 엑스포 '95, 대학연구 업적 총망라
과학동아
l
199505
제작해 전시하며 나머지 46개는 포스터(연구개발의 핵심 내용을 문자와 그림으로 요약
소개
하는 형식)로 전시된다.이중 인산형연료전지와 자기부상열차 안내·지지시스템, 인텔리전트 로봇시스템, 썩는 플라스틱 등은 당장 실용화가 가능한 제품들로 주목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교수들이 중심이 된 ... ...
사이베리아
과학동아
l
199505
작품은 소설이라기 보다는 '과학 교과서'에 가깝다는 평을 듣고 있을 정도.이번에
소개
하는 CD-롬 타이틀 게임인 '사이베리아'는 잠재된 과학적 상상력을 최대한 자극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떤 SF물에도 뒤지지 않는다. SF의 장르에 게임이 첨가됐다고나 할까(물론 CD-롬 타이틀로 제작된 게임이 SF의 한 ... ...
지프네트
과학동아
l
199505
등의 전문가들이 선별해서 올린 것들도 포함돼 있다. 그리고 사용평가와 개괄적인
소개
가 첨부된 공개소프트웨어 카탈로그도 있다. 현재 국내 PC통신자료실의 상당수는 이곳 지프네트의 소프트웨어자료실(SOFTLIB)이나 포럼자료실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지프네트는 20여개 이상의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05
볼 수 있다. 이 책은 상대성이론에 대한 밀레바의 공헌과 관련한 갖가지 논란을
소개
하면서 그녀의 역할에 대한 정당한 자리매김을 시도하고 있다.상대성이론 창안자1990년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된 미국 과학발전협회 연차대회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지대한 관심을 끌었다. 여기서 세르비아의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