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부작용 없이 먹는 약과 똑같은 효과를 내는 멀미 치료 모자가 개발됐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 의대 콰디어 아르샤드 박사팀은 두피에 미세한 전기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 9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작은 전극을 이 ... ...
[과학
뉴스
]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전세계 경작지의 3분의 1은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땅이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호주 맬버른대 스태판 퍼슨 교수팀이 염분이 많은 땅에서 식물의 생장을 돕는 단백질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외부의 염분 농도가 높을 때 식물 내에서 증가하는 단백질을 찾아 셀룰로오스 합성효소 ... ...
[과학
뉴스
]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불소는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생성과정이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미국 인디애나대와 유타대 공동 연구팀이 초신성이 폭발할 때 생기는 중성미자가 불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불소와 수소가 결합한 불화수소로 둘러싸인 별 79개를 찾아 이들의 중심에서 불 ... ...
[수학
뉴스
] 소프트웨어로 날다,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내가 평소 만들고 싶었던 게임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나요?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소프트웨어로 이뤄보면 어떨까요? 이 대회는 청소년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소프트웨어로 나타내는 대회예요. 개인 또는 2~3명이 한 팀을 이뤄 참가할 수 있어요. 예선에서는 지난 8월 31일까지 공모한 아이디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덩굴인 만큼 자라면서 다른 식물이 햇볕을 못 받게 아예 덮어 버렸지요.가을만 되면
뉴스
에 등장하는 돼지풀과 단풍잎 돼지풀은 어떨까요? 이 식물은 인간에게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어요. 가을만 되면 코가 간질간질해지며 꽃가루 알레르기가 심각해진다면 이 식물들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요. 8~ ... ...
[수학
뉴스
] 글을 평가하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컴퓨터가 글쓰기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요? 지난 7월 24일 미국 델라웨어 주립대의 조쉬 윌슨 교수는 초등학교 교사와 함께 학생들의 글쓰기 숙제를 소프트웨어로 평가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메저먼트사의 ‘PEG라이팅’이라는 소프트웨어는 500개 이상의 단계를 만들어서 점수를 내 ... ...
[수학
뉴스
]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개미는 혼자서 과자 부스러기처럼 작은 먹이를 옮기기도 하지만, 여러 마리가 힘을 합쳐 자기 몸보다 훨씬 큰 먹이를 옮기기도 합니다. 여러 개미가 각자 흩어지지 않고 힘을 합쳐 한 방향으로만 먹이를 옮기는 비결은 무엇일까요?최근 이스라엘 바이츠만과학연구소 전문가들은 미치광이 개미 떼에 ... ...
[수학
뉴스
]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여러분은 ‘깊이 감지 카메라’에 대해 알고 있나요? 3차원 센서를 이용해 3차원 사진을 찍는 카메라인데요.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차를 감지하는 원리지요. 하지만 밝은 빛 아래에서는 깊이의 차이를 잘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과 캐나다 전문가들이 이 문제를 해 ... ...
[과학
뉴스
]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우주 한 가운데 떠있는 우주선에서 재배한 상추는 어떤 맛일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8월 10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우주비행사들이 처음으로 우주에서 기른 채소를 먹게 됐다고 발표했다. ‘우주 채소’는 ISS에 설치된 ‘베지’라는 미니 온실에서 33일 동안 자랐다. 베지는 태양광 대신 ... ...
[과학
뉴스
]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현재까지 입자물리학자들이 완성한 가장 정교한 우주 모형은 ‘표준모형’이다. 그런데 표준모형으로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초대칭이론’처럼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왔지만, 아직 증명된 바는 없다. 일부 과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