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기원에 대한 종합적인 바른 이해를 갖기 위해서는 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이 문제가 활
발
하게 논의되고 연구돼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재료공학자 핵공학자 식품영양학자 등이 함께 참여, 생명의 기원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종합적인 접근법으로 간주할 수 있어 참으로 고무적인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다지 많지 않다. 예컨대 사람 소 말 유인원 등의 땀샘
발
달이 양호하고 개 고양이는
발
바닥에 땀샘이 있다. 하마류는 혈한(血汗)이란 특수한 땀을 흘리나 체온조절에 효과가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땀을 흘리는 것 말고도 분뇨의 배설, 호흡 등은 체열방산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낙타의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수 있음을 믿는다.실러캔스가 네
발
동물의 조상으로서 그 후손들이 엄청난 유형으로
발
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원형을 유지한 채 전혀 변하지도 진화하지도 않았음은 정말 기가 막힐 사실이다. 실러캔스가 무려 4억년간의 나이를 가지는 그 기나긴 세월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니 말이다.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짧은 지상생활 기간에 닥치는대로 먹이를 먹는다. 보통 개미 바구미 지네 전갈 등이 가래
발
개구리의 음식이 돼 준다. 특히 튼튼하고 강한 놈은 살아남기 위해 동료를 잡아먹기도 한다. 거의 1년 동안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지내려면 충분한 양의 지방을 저장해둬야 하기 때문이다.(5) ① 곤충은 모두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8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한 각국의 컴퓨터교육은 컴퓨터문맹탈피, 정보사회의 대응이란 측면에서 컴퓨터를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
발
해지고 있다.이제 우리 ... 마지막으로 특정교과나 단원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범용소프트웨어의 개
발
보급의 확대가 요청된다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표현돼 있다. 아이오타(ι)별이 나타내고 있는 왼
발
은 용의 머리위에 놓여 있으며, 오른
발
에 위치한 카이(χ)별은 목동의 머리를 향하고 있다.헤르쿨레스자리로 불리기 이전의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 별자리를 단지 '무릎 꿇은 사람'으로 불렀었다. "그가 누구인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없다. 무엇을 하고 ... ...
2 헛
발
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기 때문이라고 서슴없이 말하고 있다.캐논사가 1983년 EOS 싱글렌즈 레플렉스 개
발
에 착수했을 때 처음에는 일본의 3개 메이커와 접촉을 했으나 모토롤라만큼 열의가 없었다. 모토롤라사는 당시 자동차시장용의 특성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하고 있었는데 이 반도체칩을 카메라용으로 만들어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투덜거리면서 들어서기도 했다. 선두 과학에서는, 아니 김씨의 사랑방에서는 세계에서
발
간되는 모든 천문잡지도 볼 수 있을 뿐더러 천문정보를 위해서라면 국제전화와 팩시도 무료다. 일반인을 위해 매주 천문정보 안내전화도 가설해 놓았다(02)455-1772. 때문에 전화요금만 해도 1년에 3백만 원씩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국민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에 재직중인 현직교사들의 컴퓨터연구모임인데, 89년 4월에
발
족한 후 서울을 비롯 충북 전북 경기 등 전국에 회원이 3백여 명으로 불어났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선 이제 PC통신이 꼭 필요한 수단이 됐다.총회 개최를 알리거나 회원들의 의견과 소식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점은 분명하다.정통 SF흐름부터 파악해야지금까지 우리는 유럽과 미국을 무대로
발
전해온 과학소설의 역사를 주요한 몇몇 인물을 통해 살펴 보았다. 이제 자연스럽게 '90년대에 들어선 우리는 언제까지 남의 이야기를 듣는 수준에서 머무를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올 차례일 것이다.아직 본격적인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