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나의 실력이 부족할지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분명 여러분의 노력이
빛
을 발하는 날이 반드시 올 겁니다.1%의 가능성이 있는 일에 100번 도전했을 때 적어도 1번 이상 성공할 확률을 구해보면 아마 깜짝 놀랄 거예요. 1 - 0.99100≒0.63, 즉 63%나 되거든요. 다들 조금씩 힘내서 포기하지 ... ...
깐깐한 헝가리 은행장 '도니 안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홀로그램의 원리를 생각해 낸 바로 그 순간이었다.“특징이 다른 여러 개의
빛
이 만나면,
빛
이 서로 뒤섞이는 간섭현상을 일으키지. 그래서 우리 눈에는 마치 입체처럼 보이게 되는 거야! 오~, 이 놀랍고 성스러운 발명품의 이름을 홀로그램이라고 지어야겠다!”위대한 발명의 순간. 그런데 문제가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는 실험 증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맥스웰이 전기력과 자기력을 통합하면서
빛
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도 발견했다.두 가지 발견은 모두 당시까지의 세계관과 정면으로 부딪혔다. 이 문제는 각각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발견으로 단숨에 해결됐다. 20세기 현대과학은 여기에서 시작됐다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찾는 방법이다. 0.002%의 매우 미약한
빛
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행성의 질량은 별
빛
가림 방법으로는 알 수 없어 별의 시선속도 변화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 케플러-16b는 갈색왜성과 같은 어두운 별이라기에는 질량이 작았다.이 외계항성계를 이루는 두별의 질량은 큰 별이 태양의 69%, 작은 별이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유기영양물질을 제공하는 공생관계에 있다. 오래 된 나무나 바위에 붙어있는 에메랄드
빛
의 지의류를 자세히 살펴보면 애벌레를 찾을 수 있다.2009년 여름의 에피소드. 참나무 잎 위에 있던 애벌레를 채집하여 먹이식물로 참나무를 계속 넣어줬지만 전혀 먹지 않고 죽어버린 경우가 있었다.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 도전해 봅시다. 실제 연구 보고서 살펴보기 다음 연구 보고서를 쓴 학생들은 형광등
빛
의 유무에 따라 교실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도계를 이용해 연구했습니다. 평범한 주제일 수 있지만 탐구방법을 성실히 수행한 연구활동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렇게 연구활동을 한다면 결과를 여러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는 대표적인 예가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이들은 살아가려면 종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빛
과 이산화탄소, 각종 무기질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두 종을 함께 키우면 결국은 한 종이 선택된다.그런데 바다에서는 엄청나게 다양한 종의 플랑크톤이 엄연히 공존하고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2000만 배로 추정된다.그런데 별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서 왜 제트가 분출되고 강력한
빛
이 나오는 걸까. 별이 거대질량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건 당구공이 당구대 구멍에 쏙 들어가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현상 아닐까.“그렇지 않습니다. 블랙홀에 가까이 갈수록 중력이 급격히 커지는데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떠 있는 조그만 액체 또는 고체 입자로 구름의 씨앗이 된다. 대기 중의 에어로졸은 태양
빛
을 반사하고 구름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다. 여분의 에어로졸은 구름을 더 오래 지속시키기도 한다.연구팀은 정밀하게 대기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챔버를 이용했다. CERN의 양성자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햇
빛
을 받아 더욱 반짝이며 자태를 뽐냈다. 멀리 보이는 알프스에서 내려온 바람도 호수
빛
을 닮아 싱그러웠다.[➊ 프랑스 대체에너지 및 원자력위원회(CEA)의 피에르 레그란 박사. ➋ 캐서린 카스텔로 HUPO 회장의 모습. ➌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외에도 이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