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확인하고, 해체 조사를 정밀하게 한 뒤, 최종 보수 범위와 기술을 직접 개발하다 보니 20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물론 그 성과는 컸다. 우리의 석조문화재 보존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미륵사지 석탑 보수에 적용된 기술은 해외에서도 세련됐다는 극찬을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류할수록 최종적으로 얻는 순수한 금속의 양이 늘어나지요.하지만 이 과정을 사람이 직접 하면 부품별로 완벽하게 분해하지 못해요. 전자제품마다 부품과 크기, 디자인이 제각각이거든요. 게다가 잘못하면 배터리가 폭발하거나 전자제품 안에서 납이나 카드뮴 같은 유독 물질이 흘러나올 수도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토샵으로 수정해 몽타주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몽타주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폭력을 행사한다는 비판도 있다. 포경선에 화염병이나 신호탄을 던지고, 포경선을 직접 들이받아 인명을 위협하는 등 평화적인 활동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스팀러 홍보책임자는 “올해 8월 일본은 북태평양에서의 포경 계획을 40% 늘렸고, 남극해의 포경 구역도 2배 넓혔다”며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환경에 따라 맥주 제조에 중요한 특성들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최근 수제맥주를 직접 만드는 사람이 많은데, 품질좋은 맥주 보리를 환경에 맞게 키워서만 사용해도 기존에는 없던 색다른 맛을 창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산 맥주보리는 백호보리 외에도 호품, 광맥, 다이안, 이맥, 흑호 등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방법은 주로 일본 학자들이 쓰는 방식인데, 동 씨가 e메일 등을 통해 일본 학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알아냈다. 그는 “이렇게 하면 개미 외에도 다양한 토양 동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곧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 장님침 개미(Cryptopone sauteri)가 발견됐다. 침개미류는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김치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묻자 다음과 같이 답했다. “그로텐디크 교수님의 집에서 직접 김치 담그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담가 나눠 먹었습니다. 맛있기는 했지만, 산도가 강해 매일 먹기는 힘들었어요. 하지만 음식을 보존하는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치 에세이에는 필요한 도구나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오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열매에 있는 기름진 과육을 제거하고, 단단한 씨앗을 손으로 직접 깨야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염소가 아르간 나무의 열매를 먹고 싼 배설물에서 씨앗을 수확하려고 했지요.하지만 아르간 나무의 씨앗은 길이 2.2cm, 폭 1.5cm로 큰 편에 속해요. 염소의 소화기관을 지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먹게 됐으니까요.식물을 재배하려면 햇볕이 있어야 해요. 하지만 우주에서는 햇볕을 직접 이용해서 식물을 키울 수 없어요. 지구와 달리 대기를 거치지 않은 강력한 자외선을 그대로 맞으면 식물은 물론, 사람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따라서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토록 이질적인 특징을 둘둘 두르게 된 것인가? 하지만 정체불명의 질문자가 직접 이야기해주지 않는 한, 죽은 생물의 조직을 아무리 해체한들 정답은 나올 리 없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추측만 무성해질 따름이었다. 언젠가 에반스 교수는 “혹시 금성에서 온 거 아닐까요?”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