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살아 있는 대장균이 들어간 운동복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섬유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답니다.연구를 이끈 왕 웬 연구원은 “운동복을 입고 직접 운동을 해 보니 마치 등 뒤에 에어컨을 단 것 같았다”며, “발바닥의 땀을 제거해 주는 러닝화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특허를 등록하기도 했지요. 백영 학생이 어떻게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렸는지 직접 이야기를 들어봐요~!Q. 어떻게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을 만들겠단 생각을 하게 됐나요?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과학자를 꿈꾸면서 과학책 읽는 걸 좋아했어요. 수박씨 아이디어도 책에서 얻었죠. 책에서 수박씨를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토샵으로 수정해 몽타주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몽타주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토록 이질적인 특징을 둘둘 두르게 된 것인가? 하지만 정체불명의 질문자가 직접 이야기해주지 않는 한, 죽은 생물의 조직을 아무리 해체한들 정답은 나올 리 없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추측만 무성해질 따름이었다. 언젠가 에반스 교수는 “혹시 금성에서 온 거 아닐까요?”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방법은 주로 일본 학자들이 쓰는 방식인데, 동 씨가 e메일 등을 통해 일본 학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알아냈다. 그는 “이렇게 하면 개미 외에도 다양한 토양 동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곧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 장님침 개미(Cryptopone sauteri)가 발견됐다. 침개미류는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가 필요했다. 장 교수는 결국 슈퍼컴퓨터를 직접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시물레이션하는 연구까지 섭렵했다. 현재 DGIST에는 장 교수 주도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아이램(iREMB)’이 운영 중이다. 국내 민간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마랭: 물론입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통해 그가 생각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연구 결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연구를 하다 막히는 부분이 있을 때, 한 걸음 물러서 큰 그림을 볼 수 있는 태도를 갖게 됐습니다. 말구아르 교수님은 마랭 교수님이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확인하고, 해체 조사를 정밀하게 한 뒤, 최종 보수 범위와 기술을 직접 개발하다 보니 20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물론 그 성과는 컸다. 우리의 석조문화재 보존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미륵사지 석탑 보수에 적용된 기술은 해외에서도 세련됐다는 극찬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멀리 이동되어 여러 곳에서 쓰였다는 점 등이 신기하고 놀라웠다”며, “전시물을 직접 보니 아라비아가 좀 더 가깝게 느껴진다”고 말했답니다.# 이번 취재는 고대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슬람의 발상지인 아라비아의 또다른 모습을 느낄 있는 시간이었어요. 친구들도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류할수록 최종적으로 얻는 순수한 금속의 양이 늘어나지요.하지만 이 과정을 사람이 직접 하면 부품별로 완벽하게 분해하지 못해요. 전자제품마다 부품과 크기, 디자인이 제각각이거든요. 게다가 잘못하면 배터리가 폭발하거나 전자제품 안에서 납이나 카드뮴 같은 유독 물질이 흘러나올 수도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