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asa"(으)로 총 2,6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인데 1100광년서 초신성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4.03.03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발견됐다는 데 있다. 이 같은 사실을 보고받은 NASA는 스위프트위성의 자외선/가시광 망원경을 이용해 초신성을 다시 확인했다. 문제는 국내 언론들이 이 초신성이 1100광년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됐다고 오역하면서 생겼다. 이 때문에 일부 네티즌들은 ‘이번 ... ...
- 남극에서 찾은 운석, 화석 박테리아의 흔적동아사이언스 l2014.03.03
- 양옆으로 박테리아와 암석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미세균열'을 다량 발견할 수 있다. - NASA 제공 남극에 떨어진 운석에서 화성 생명체 존재 증거가 발견돼 화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 로렌 화이트 박사팀은 5만 년 전 남극에 떨어진 ‘야마토 00693’ 운석을 분석한 결과 ... ...
- 게임광 소년, 게임으로 KAIST 박사 됐다동아일보 l2014.02.21
- 동아일보] 박태우씨 생활접목 게임에 논문도… 6월부터는 NASA 연구원으로 21일 열리는 KAIST 학위수여식에서 게임 개발로 전산학 박사학위를 받는 박태우 씨(32·사진)의 고교시절 별명은 ‘게임광’이었다. 평일엔 3시간, 휴일엔 하루 종일 게임에 빠져 살았다. 재수 끝에 KAIST에 입학했지만 게임은 ... ...
- 국내 기술로 우주기상 관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02.17
- 세 가지 센서로 구성된다. 한편 기상청은 미국해양대기청(NOAA) 및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향후 우주기상 관측과 활용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 ...
- 한양대 국제우주탐사연구원 달 탐사 워크샵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4.02.04
- 한양대 국제우주탐사연구원(International Space Exploration Research Institute)은 4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에서 ‘민간분야의 우주탐사 기술전 ...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장을 역임한 제러드 그리핀 이사장과 NASA 우주과학 프로그램 총괄 책임자였던 앨런 스턴 이사다 ... ...
- 별에서 온 그대 vs 감자별 2013QR3동아사이언스 l2014.01.23
- 크기가 클수록 울퉁불퉁한 감자 모양에서 둥근 구 모양으로 바뀐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또 소행성이 이 정도 크기라면 지구의 달보다 더 크니, 감자별이라는 이름도 어울리지 않는다. 둥근 보름달에서 알 수 있듯이 지구 절반 크기의 소행성은 ... ...
- 중국發 대기오염, 알고보니 전세계 골칫거리동아사이언스 l2014.01.22
- 구름형성에 관여해 북아메리카와 열대지방 등 먼 곳의 기후까지 영향을 미친다. - NASA 제공 연구팀은 아시아의 ‘에어로졸’ 분포와 30년간의 세계 강수량·기온 같은 기상 데이터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기후계층모델’을 이용했다. 에어로졸은 대기에 떠 있는 0.001~100㎛(마이크로미터·1㎛는 10 ... ...
- 우주복의 비밀, 무게 100kg 넘어…‘기저귀가 달려 있다는 게 포인트’동아일보 l2014.01.16
- “아베 까불지마라” - [화보]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NASA 비행사 우주복서 결함…23일 유영 연기 - 우주로 간 호박, 우주복 안 입어서 얼굴이 ‘꽁꽁’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 달에서 레이저로 지구에 동영상 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4.01.10
- 흔히 접하는 광통신은 TV 리모컨이나 무선 게임 컨트롤에 쓰이는 적외선 통신인데, NASA가 활용한 레이저 광통신은 이보다 파장이 더 짧은 적외선 부근 전자기 스펙트럼의 광자를 이용했다. 레이저 광통신은 기존 무선 주파수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파장이 1만 배나 짧기 때문에 지상 ... ...
- 지구온난화 알고보니 2세기 전 산업혁명 때문동아사이언스 l2014.01.05
- NASA)의 감마선 관측 우주망원경인 ‘페르미’와 ‘스위프트’에 의해 최초로 관측됐다. NASA에 따르면 GRB 130427A는 지구로부터 약 37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기존의 감마선 폭발 사례에 비하면 꽤 가까운 거리에서 이뤄진 것이다. 감마선 폭발은 자주 일어나진 않지만 한 번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