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11
누르듯 밀어 병아리 경주를 해 보면, 병아리가 종종걸음으로 또는 뛰면서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 번에 누가 더 멀리 가는지 길이도 재 보자.모서리의 길이가 같은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한 개씩 만들자. 면과 면이 꼭 들어맞도록 공유하는 모서리를 테이프로 붙이면 평평한 면이 몇 개인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하지만 내 꿈을 실현할 만한 큰 송전탑을 만들기에는 돈이 부족해서 결국 실험해
볼
수 없었어. 그런데 2007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대학원생 안드레 커스가 둥근 금속 코일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이용해 전선없이 에너지를 주고받는 데 성공했어. 그러니 이제 곧 내 꿈이 실현될 수 있겠지?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11
생리의학상과 경제학상에는 나이 많은 수상자가 많다는 점에서 학문의 특성을 엿
볼
수 있다.노벨상 미선정 횟수는 49번노벨상 홈페이지는 노벨상 선정이 안 된 횟수를 50번이라고 언급하고 있으나 수학동아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49번이다. 평화상에서 1917년을 포함해 20번이나 수상자 선정이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11
포물선 줄, 비스듬한 줄높은 산에 가면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구름다리를 종종
볼
수 있다. 까마득한 계곡을 가로질러 공중에 걸쳐 놓았기에 구름다리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 구름다리는 양쪽 기둥 사이를 이은 줄에 매달려 있어 바람이 불면 흔들리기도 한다. 발 아래로 천길만길 낭떠러지가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11
학생은 수학을 2과목 정도 더 선택해서 듣는다.캐나다에서는 선행학습을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수업을 마친 뒤에 수학을 따로 배우는 학생도 드물고 학원도 거의 없다. 다만 한국이나 중국 등 아시아에서 온 학생들은 수학 학원에 다니거나 과외를 받기도 한다.방과 후에 수학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게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11
높다면 행성에 어두운 색의 흙을 뿌려 더 많은 빛을 흡수하게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중력이나 기온은 적당한데 물이 없는 행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드라이아이스를 충돌시켜 온실효과를 일으켰듯이 물도 직접 가지고 갈 수 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 같이 물이 풍부한 곳에서 끌어 낸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않은 채 단백질을 조사할 수 있다. 카프리올리 교수는 “눈으로 단백질의 분포를
볼
수 있다는 게 중요하다”며 “말디를 이용한 영상 기술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토프(TOF)는 ‘이온 비행 시간차(Time of Flight)’의 약자로 이온이 움직이는 데 걸리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있다. 봄 무는 평균 당도가 3.24 브릭스(Brix, 100g당 당이 1g), 가을 무는 4.71 브릭스다. 장을
볼
때 당도를 잴 순 없겠지만 평균을 넘어선 당도는 피해야 하므로 먹어보아 ‘달다’고 느낄 정도면 고르지 않는 게 좋다.깍두기용 무는 단단하면서 파란색이 적은 것을 고르면 좋다. 배추김치의 양념소로 쓸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11
시스템이 적용된 의상에서는 근육을 따라 X자 모양의 밴드가 여러 개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이처럼 전문 스포츠웨어는 앞으로도 소재 과학과 인체 생리, 스포츠 역학의 연구와 함께 첨단과학의 힘을 빌려 다양한 기능과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스포츠정신에 비출 때 어느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11
것은 아닌가 싶지만, 오히려 지구온난화에 따라 기존의 기후 패턴이 변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앞으로는 더욱 극단적인 기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예시답안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는 북태평양 기단과 시베리아 기단의 활성화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의 위도에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